제 목 | 답변 : 유아교육개론 153쪽 발달심리 기출문제 질문합니다^^ | ||
---|---|---|---|
작성자 | kimha19 | 작성일 | 2015-06-30 14:12:59 |
조회수 | 1,295회 | 댓글수 | 0 |
1. 가역적 사고와 보존개념의 관계
구체적 조작기에는
논리적 사고의 특성인 가역성 개념이 보존, 분류, 서열로 나타나는 것 입니다.
인지적 조작자인 아동은 지각적 특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논리적 조작에 의해서 보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지각적으로 현저한 자극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가장 현저한 자극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면들은 무시해버리는 중심화 경향을 보이는 비논리적인 추론을 하므로 보존개념이 없는 것이지요.
참고: 아이미소 유아교육개론1 p.147
2. 기출문제의 보존개념
유아는 찰흙모양을 손바닥으로 눌러서 빈대떡을 만들고 양이 많아졌다고 사고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찰흙은 더하거나 빼지 않고 외적인 모습만 변화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양이 변화되었다고 믿는 유아는 찰흙의 보존성을 이해하지 못한 것입니다.
보존개념은 사물의 양, 수 면적 등에 무엇이 첨가되거나 감해지지 않으면, 그 형태가 변하거나 몇 개의 부분으로 나뉘더라도 양, 수 면적 등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으로, ‘동일성, 보상성, 가역성’의 개념을 통해 발달합니다.
동일성: 물체는 그것에 무엇이 더해지거나 감해지지 않으면 항상 같다. |
보상성: 한 차원에서 변화의 손실은 다른 차원의 변화에 의해 상쇄된다. 예컨대, 공모양을 소세지으로 변형했을 때, 두께의 손실을 길이로 보상되기 때문에 형태가 변해도 물체는 동일하다. |
가역성: 물체에 일어난 변화를 되돌리면 원래 상태가 된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