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프로이드-개론책 116쪽 질문요~^^ | ||
---|---|---|---|
작성자 | deruna90 | 작성일 | 2015-03-29 00:47:16 |
조회수 | 1,211회 | 댓글수 | 1 |
116쪽 인간관 공부하던 중 애매모호한 점이 있어 질문 올립니다.
우선 프로이드가 인간 행동의 근원을 설명하면서 본능, 욕구, 소망 이 세 단어를 사용한 것 같아요
(임미선 선생님 교재를 볼때)
결론적으로 프로이드는 행동의 근원은 본능이라고 했고, 본능은 욕구와 혼동하여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보면 욕구보다도 먼저 발생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신체적 자극을 욕망이라고 하며, 이 욕망을 인식하게 되는 것을 소망이라고 하는데
소망이 발생하면 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을 취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조금 거시기 하지만 소변을 보는 행동을 취하기까지의 과정에 비유하면
방광에 오줌이 차게 되면 인체에서 신호를 보내겠죠 이건 본능인거고,
이에 따라 신체적으로 짜릿함이 동반되는데 이것은 욕망입니다.
그리고 화장실을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되고, 이를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할지 생각하게 되는 것은 소망이라고
저는 이해하였습니다.
이렇게 이해한 것이 올바른 것인지 확신이 서지 않아 글을 남깁니다~^^
우선 프로이드가 인간 행동의 근원을 설명하면서 본능, 욕구, 소망 이 세 단어를 사용한 것 같아요
(임미선 선생님 교재를 볼때)
결론적으로 프로이드는 행동의 근원은 본능이라고 했고, 본능은 욕구와 혼동하여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보면 욕구보다도 먼저 발생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신체적 자극을 욕망이라고 하며, 이 욕망을 인식하게 되는 것을 소망이라고 하는데
소망이 발생하면 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을 취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조금 거시기 하지만 소변을 보는 행동을 취하기까지의 과정에 비유하면
방광에 오줌이 차게 되면 인체에서 신호를 보내겠죠 이건 본능인거고,
이에 따라 신체적으로 짜릿함이 동반되는데 이것은 욕망입니다.
그리고 화장실을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되고, 이를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할지 생각하게 되는 것은 소망이라고
저는 이해하였습니다.
이렇게 이해한 것이 올바른 것인지 확신이 서지 않아 글을 남깁니다~^^
댓글목록
김현아님의 댓글
kimha19 작성일저는 샘이랑 똑같이 이해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