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행동주의 격리와 박탈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
---|---|---|---|
작성자 | ioi0218 | 작성일 | 2015-02-08 09:47:36 |
조회수 | 1,074회 | 댓글수 | 3 |
친구 장난감을 자꾸 빼앗아 혼자서만 사용하려는 아이에게 일정기간 그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못하게 하는 벌은?
이 질문의 답이 박탈이라고 되어 있는데요.
격리라고 답을 쓰면 틀리게 되는 건가요? 틀리다면 왜 인지 궁금합니다.
----------------------------------------------------------------------------------------------
학지사 행동수정이론을 봤는데요, 거기에 타임아웃(격리)에 대한 설명으로는
배제된 타임아웃과 배제되지 않은 타임아웃이 있다고 봤어요.
배제되지 않은 타임 아웃이란 그 상황 내에서 강화가 덜한 자극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그 예로는 아이들과 리본 막대를 가지고 놀 때 A라는 유아가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A 유아의 리본 막대에서 리본을 떼어내는 것이라고 봤습니다.
그리고 임미선닷컴에서 <질문있어요>에 답변해주신 바로는 박탈은 유형과 무형으로 나뉜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답은 격리가 될 수 없다고 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
실제로 문제를 접하게 되면 격리와 박탈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아 혼동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차이점을 생각해 본 결과, 강화가 "덜한" 자극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장난감을 빼앗아 아무것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박탈이라고 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제 생각이 억지스러운 면이 없는지, 이렇게 생각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김은아님의 댓글
bliss514 작성일
쌤! 저는 (권리)박탈 : 권리(장난감)를 행사할 수 있게 미리 주고 문제 행동을 일으킬 때 그 권리를 빼앗는것.
격리(타임아웃) : 일정 시간동안 긍정적 보상(집단에의 소속감)을 빼앗는 것. 즉 배제되지 않은 타임 아웃도 결국에는 유아가 활동에 있어 소속감을 느끼기 어려움으로 격리는 일정 시간동안 소속감을 빼앗는 것..이라고 이해했어요.
장소희님의 댓글
ioi0218 작성일
아.. 소속감에 초점을 맞추고 보니 그런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
장소희님의 댓글
ioi0218 작성일
오늘 도서관 가서 계속 책을 뒤져봤는데요
책에 '박탈' 이 안나와서 답답했었는데
'반응대가'라고 나오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