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답변 : 피아제 놀이에서 동화 질문있습니다. | ||
---|---|---|---|
작성자 | 아이미소연구소3 | 작성일 | 2015-03-10 14:40:04 |
조회수 | 1,290회 | 댓글수 | 0 |
강의에서 피아제는 놀이의 주된 기제가 동화라고 하셨는데
그렇기 때문에 놀이를 하면서 인지 구조가 불평형 상태가 된다고 하셨습니다.
제가 알기로 인지구조가 불평형 상태인 경우는 조절이 이루어 진다. 라고 생각했는데
동화 중에 인지구조가 불평형이 올 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아이미소 연구소 교육관리자입니다.
'놀이를 하면서 인지 구조가 불평형 상태가 된다' 라는 질문은,
강의 중에 그런 말씀이 없으셔서 선생님께서 왜 그렇게 생각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교수님께서 놀이는 새로 획득한 개념, 기술을 연습하는 행동(연습놀이)으로 놀이의 주된 기능은 동화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적응 안에 동화와 조절이 있지요. 인간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화 혹은 조절을 사용합니다.
인지적 불일치에 의해, 환경에 적응하려는 유아의 내적 동기가 활성화 되어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인지구조 불평형이 온 후 동화 혹은 조절이 이루어 진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EX) 2011기출문제, 2013 추시 기출문제 피아제 이론 지문 참고하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