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답변 : 성숙이론의 발달관과 에릭슨에 대해 질문합니다~ | ||
---|---|---|---|
작성자 | 임미선쌤 | 작성일 | 2015-01-27 01:15:56 |
조회수 | 1,431회 | 댓글수 | 0 |
1. 강의에서 성숙이론, 행동주의 이론, 상호작용주의의 인간관과 발달관 비교하실 때(개론 책 pp.113-114),
성숙이론의 사전결정론적 발달관을 가지고 있어서 인간의 능동성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하셨는데요, 그 설명이 이해가 가기는 하는데
그렇게 되면 성숙이론이 유기체론적 관점이라는 것과 모순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성숙의 원리 중에 '자기 규제'와도 모순되는 내용 아닌가요?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지요ㅠㅠ
2. 개론 책 p.120 맨 위에 ③번 내용이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 발달이 가역성을 가지는데 초기 단계(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에서만 불가역성을 가진다는 의미인가요?? 강의에서 이 내용을 다뤄주시지 않으셔서 헷갈리네요ㅠㅠ
답변 부탁드립니다ㅎㅎ
*****************************
답변입니다. ^^*
* 성숙 이론에서 인간의 능동성을 인정하지 않는 다는 것은 생물학적인 유전적 스케쥴 즉 성숙에 대한 설명입니다. 즉 단계를 생성하는 것은 성숙의 힘이지 개체의 능동적 의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성숙이론은 성숙 즉 준비도가 나타나고 난 이후에 적절한 환경의 제공과 그 안에서 인간의 노력 또는 자유의지는 인정합니다.
* 에릭슨의 이론은 각 단계별 발달과업의 성취가 해당 단계에서 이루어지지 못해도 다음 단계에서 어느 정도는 회복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본적 신뢰감만은 반드시 그 단계에서 경험하지 않으면 안되는 중요한 과제라는 의미에서 '기본적'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