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답변 : 코메,루소,페스탈로찌의 합자연의 원리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작성자 bliss514 작성일 2015-01-21 01:02:35
조회수 2,984회 댓글수 0

이 세사람은 모두 합자연의 원리를 말하였습니다.

코메니우스와 루소의 합자연의 원리는 비교 할 수 있는데

페스탈로찌의 합자연의 원리는 코메니우스의 합자연의 원리에 가까운건지 루소의 합자연의 원리에 가까운건지 모르겠습니다.

 질문란에 올라온 것들 중에서 페스탈로찌는 루소를 따르므로 주관적 자연주의라고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이 올라와있었는데

그 말은 페스탈로찌가 말하는 합자연의 원리가 루소의 합자연의 원리와

비슷한 개념이라는 뜻인가요?

 

 

쌤..공부정말 열심히하시네요..ㅠㅠ!

쌤 질문 보면서 저도 한번 생각해보았는데.

단지 세 사상가의 사상적,철학적 배경이나 아동관, 교육관 등에 따라서 약간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자연에 따르는 교육을 할 때에도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세 사상가 말하는 합자연의 원리는 모두 같은 의미로 자연의 순서에 따르는 인간 본연에 일치하게 교육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의미를 크게 구분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문제를 낼 때에도.. 무언가 합자연의 원리를 요구한다면 그 외에 그 사상가와 관련된 지문 내용이 주어지지 않을까요..

(예를들어서 2013추시 기출에서 루소가 답이었지만 해당하는 지문은 합자연의 원리의 내용인 것처럼... 그 지문을 보고 '이건 루소가 말하는 합자연의 원리이구나..'이렇게 생각할 수 있게끔 나오지 않을까요?)

코메니우스는 객관적 자연주의를 주장하면서 자연과학의 지식과 연구 방법을 교육에 적용하여서 보다 자연의 법칙과 질서에 따르는 합자연의 원리를 주장한 것..<객관적자연주의>

루소는 인간의 내부에 천성으로 갖추어진 각 기관과 능력의 자연스러운 내면적 발달을 의미하는 자연에의한 교육을 존중하며 이루어져야한다는 합자연의 원리. 아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의 능동적 주체라고 지적하며 개인의 완전한 자연적 성장의 달성을 교육의 목표로 본... <주관적자연주의>

페스탈로치는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관에 기초하였으나 여기에 더하여 교육의 목적을 인간개혁을 통한 사회개혁으로 보고 있으며, 교육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보며, 개성 존중의 면과 함께 교육상 생활 공동체의 의의를 중요시한 <사회적 자연주의>

이렇게...크게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싶었어용..다른쌤들의 생각도 궁금하네요..:)

  •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297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77 2차 1강의시간에 면접에 도움이 될만한 책 추천 min7274 15-01-20 1010
1176 답변글 답변 : 2차 1강의시간에 면접에 도움이 될만한 책 추천 임미선쌤 15-01-27 1231
1175 코메,루소,페스탈로찌의 합자연의 원리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rmsdo1017 15-01-19 1259
열람중 답변글 답변 : 코메,루소,페스탈로찌의 합자연의 원리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bliss514 15-01-21 2986
1173 몬테소리에 대해 질문합니다~ 댓글(1) rmsdo1017 15-01-17 1317
1172 티처메카 인강화질 댓글(1) jmaru1052 15-01-17 1158
1171 YTN 영어유치원 기사 정정해 달라고 전화했어요!! 댓글(1) hyewon 15-01-16 1475
1170 알려주세요 댓글(1) tripsketch5 15-01-14 1077
1169 등업관련양식 mhpark000 15-01-14 1468
1168 개론교재 댓글(1) mother76 15-01-14 1293
1167 아직 질문란이 없는건가요? 댓글(1) yskim5998 15-01-13 1485
1166 자료실 읽기자료 댓글(1) teigh8344 15-01-12 1461
1165 자료실 아리스토텔레스 자료를 읽고싶은데 자물쇠모양이 있어서 볼수가 없네요 댓글(1) ohminah5 15-01-09 1130
1164 인강문의 댓글(1) playofstars 15-01-07 1367
1163 개론 교재 댓글(1) qkfka2626 15-01-06 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