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에릭 번 상호교류분석이론에서요! | ||
---|---|---|---|
작성자 | koo05029 | 작성일 | 2022-07-30 13:58:20 |
조회수 | 869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이중적 상호 교류 예시 사진인데요..
네 가지 종류의 자아상태가 작용한다고 하잖아요~?
근데 예시의 대화 보시면 어떤 부분이 성인에서 성인자아로 교류한거고 또 어떤부분이 아동에서 아동자아로 교류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맥락을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저는 a에서는 성인자아만, b에서는 어린이자아만 있다고 생각하게되어서요 ㅠㅠ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A; 저 책상 좀 보세요 참 예쁘지요 <-> B: 어렸을 때 저도 저런 책상을 갖고 싶었어요.
-> 이 부분에서는 A와 B가 모두 성인 자아 상태로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단순히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대화이고 이 대화에서는 문제될 부분이 없습니다. 성인자아 상태는 주로 어떠한 정보에 대해 공유하거나, 현실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이 대화 속에는 숨은 의미가 존재합니다. A와 B의 속마음을 a와b 라고 할께요
a: 너랑 다르게 내 책상 예쁘지?
b: 내가 어릴 때 갖고 싶었던 책상을 어른이 되서도 좋아하다니! 유치하네!
라고 해석됩니다. 이는 a와b가 아동자아 상태를 지니고 있으며 상대방의 아동자아 상태를 건들이고 있는데요.
아동자아 상태라고 보는 이유는 대화가 보통 욕구적이고 감정적이며 창의적이고 충동적인 특성이 있습니다. 쉽게말해서 자신의 욕구를 주로 말하고 있어요. 아이가 엄마에게 밥 달라고 하는 것처럼요
부모자아 상태임을 알 수 있는 단서는 주로 아이와 부모의 대화에서 나타납니다. 부모의 입장에서 무언가를 훈계하거나, 편견으로 자리잡고 잇는 등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어요. ~해라, 넌 ~할 수 없어, 넌 ~해야만 해, 남자가 남자다워야지, 등 편견이 잡혀있거나 부모로서 주로 하는 잔소리? 같은 말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렇게 구분하시면 됩니다.
사진 속 예시는 대표적인 이중적 상호교류 예시입니다. 표면적으로는 성인들끼리의 단순한 대화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서로의 아동자아 상태를 건들이며, 속으로 상대방이 유치하다고 생각하고 타인의 책상보다 자신의 책상이 더 낫다고 생각하고 잇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대화하고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앞뒤가 다르다고 볼 수 잇음)
문제에서는 분명하게 주어질거에요. 텍스트만으로는 이사람의 속마음까지는 알 수 없으니까요. 책에서는 구체적으로 심리적 부분까지 제시되지 않은듯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유추할 순 있어요! 이해가 되셨길 바래요
간다님의 댓글
koo05029 작성일선생님 너무나 이해가 잘 되었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