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반두라. | ||
---|---|---|---|
작성자 | alswjd021 | 작성일 | 2014-02-21 13:21:53 |
조회수 | 1,069회 | 댓글수 | 1 |
2012년 교재를 기준으로 (유아교육개론) p205에 사회학습 이론의 도덕성 발달 부분을 보시면 이론의 한계가 외적인 통제에 의해 학습된다고 주장했다..라는 부분이 나옵니다. 하지만 사회학습이론가인 반두라는 자기통제라는 단어를 쓰면서 외적인 통제가 아닌 개인이 자기 평가적 능력을 지녔음을 강조했습니다. 전반적인 학습이론의 한계에 대한 설명이라서 그런가요..? 조금 헷갈리네요..ㅠ |
|||||
댓글목록
iangel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사회 학습 이론의 주요 개념은 이론의 이름처럼 인간의 행동이 사회적 과정(모델의 관찰, 모방)에 의해 학습된다는 것 입니다. 물론 자기효능감이라는 개념도 있기는 하지만 이론의 주요 강조점은 바로 사회적 과정을 통한 학습이라는 것이죠.
따라서 이론의 한계는 주요 강조점을 중심으로 인간의 자발성 보다는 사회적 통제에 의해 행동이 학습된다는 점으로 제시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