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콜버그 성역할 개념발달에 관한 의견 | ||
---|---|---|---|
작성자 | momo2402 | 작성일 | 2012-11-26 17:08:41 |
조회수 | 1,792회 | 댓글수 | 1 |
교육과정 B의 4번, 두번째 문항에 관한 의견입니다.
성 역할 개념 발달에 대한 콜버그(L. Kohlberg)의 견해에 비추어, 지문에서의 다빈이와 같이 옷이나 머리 모양을 바꾸어도 성은 변하지 않음을 이해하는 단계 즉 성 안정성(gender stability)에 대해 많은 수험자가 혼란을 가지고 있는 듯하여 명확히 하고자 의견을 제시하는 바입니다.
혼란의 원인은 수많은 개론서와 수험서에서 안정성과 항상성의 개념에 혼동을 느끼게끔 기술하였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예로써 유아사회교육(고정곤 외, 양서원, 2011) 109페이지의 두번째 단락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합니다.
"자신을 남성이나 여성으로 구별하여(gender identity) 인식하고, 자기의 성이 계속 같은 성으로 유지된다는(gender stability) 것을 인식하여야만 자신이 원하는 외형의 형태에 따라 성이 변화될 수 없다(gender constability)는 것을 인식한다."와 같은 잘못된 내용과 함께 바로 그 다음 단락에서,
"성역할 개념의 발달에서는 성 정체성(gender identity, 남녀를 구분하며 명명하는 능력), 성 안정성(gender stability, 옷이나 머리를 바꾸어도 성은 변하지 않음을 이해하는 능력), 성 항상성(gender constability, 남자라면 계속 남자로 자라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의 3가지 측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Gender stability는 성 안정성을 뜻합니다. "안정성" 이라는 명사에 대해 국어 대사전(이희성 편저, 민중서림, 1994)에서는 '안정한 성질, 안정된 성질, 외부로부터의 작용 없이는 어떠한 변화도 하지 않는 계의 성질' 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Gender constability는 성 항상성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항상성"에 대해 국어 대사전은 '생물의 생리계 곧 혈액 따위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현상, 항성. 이라고 정의합니다. 그리고 "항성"이라는 명사에 대해서는 '언제나 변하지 아니하는 성질, 항상성'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constability의 어원격인 constantancy 는 '변치않는, 일정한, 항구적인, 부단한' 이라는 정의를 갖고 있습니다(항상성은 constability 보다는 homeo-stasis 라는 생물학적 근원을 가진 어원에 적합한 단어입니다).
콜버그의 단계는 gender identity, gender stability, gender constability로 이루어지며,
본 문제에서 다빈이와 같이 옷이나 머리 모양을 바꾸어도 성은 변하지 않음을 이해하는 단계는 자신의 성이 외적인 모습과는 관계없이 '안정된 성질'로 이루어짐을 깨닫는 '성 안정성' 단계 입니다.
댓글목록
채정민님의 댓글
yangpa19 작성일
선생님..이의 제기 하셨다니 이유가 있으셨을듯 합니다.
근데 제가 문제를 이해한 것과 다르게 이해하셔서 글을 남깁니다.
2010년도 인가...이 단계가 주관식에 나왔던 적이 있지요. 그걸 보시면 답이 무엇인지 아실거예요.
그리고 다빈이는 자신만의 성이 아닌 성개념 자체에 대한 불변성을 말하고 있었고,
성역할 고정관념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제가 알기에 성역할 고정관념은 마지막 단계 성항상성 단계에 확연해 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전 이렇게 생각해서 성 항상성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그리고 이의를 제기하신다는 걸 보니 성항상성이라고 얘기가 나왔나 보군요.
저는 그냥 결과 발표보고 확신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