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교육과정 운영및평가에서 | ||
---|---|---|---|
작성자 | koo05029 | 작성일 | 2022-03-21 22:26:45 |
조회수 | 857회 | 댓글수 | 1 |
275쪽 교육목표의 설정에서
낭만주의 문화전달주의 진보주의 철학이요
앞에서 배운 콜버그와 메이어의 교육과정에 이용된 교육 이데올로기로서의 발달이론이랑 같은건가요..?
같은거면..콜버그와메이어의 이론은 유아교육과정 유형인데
275쪽은 철학이라고 나와있으니까 좀 감이 안 잡힙니다ㅠㅠ
2. 306쪽 시범보이기 예시에 은미야 내가 언니한테 ‘언니 나도 놀고 싶어’라고 말해보자 이 부분이 지도하기가 될 수도 있지 않나요..? 정형화된 행동을 지시하는 것 같아서요..
시범보이기는 언어로도 할 수 있고 행동으로도 할 수 있다고 설명해주셨던것 같은데 그럼 언어로 했을 때에 지도하기와 구분을 어떻게 하면될까요..?
3. 310쪽 검사법 단점에서 유아가 실제 알고 있는 것이나 할 수 있는 것을 평가하지 못한다고 나와있는데
유아에게 친구랑 같이 있을 때 기분이 얼마나 좋아 하고 물었을 때 머리로 대답하지 , 실제 할 수 있는 거 평가 못한다고 강의에서 예시를 들어주셨거든요 ! 여기서 친구와 싸운상태일수도 있는데 그냥 친구를 좋아해야한다는 사고가 있어서 마음은 그렇지 않은데도 친구랑 같이 있음 너무 좋다고 얘기할수있다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낭만주의 문화전달주의 진보주의 철학이요
앞에서 배운 콜버그와 메이어의 교육과정에 이용된 교육 이데올로기로서의 발달이론이랑 같은건가요..?
같은거면..콜버그와메이어의 이론은 유아교육과정 유형인데
275쪽은 철학이라고 나와있으니까 좀 감이 안 잡힙니다ㅠㅠ
2. 306쪽 시범보이기 예시에 은미야 내가 언니한테 ‘언니 나도 놀고 싶어’라고 말해보자 이 부분이 지도하기가 될 수도 있지 않나요..? 정형화된 행동을 지시하는 것 같아서요..
시범보이기는 언어로도 할 수 있고 행동으로도 할 수 있다고 설명해주셨던것 같은데 그럼 언어로 했을 때에 지도하기와 구분을 어떻게 하면될까요..?
3. 310쪽 검사법 단점에서 유아가 실제 알고 있는 것이나 할 수 있는 것을 평가하지 못한다고 나와있는데
유아에게 친구랑 같이 있을 때 기분이 얼마나 좋아 하고 물었을 때 머리로 대답하지 , 실제 할 수 있는 거 평가 못한다고 강의에서 예시를 들어주셨거든요 ! 여기서 친구와 싸운상태일수도 있는데 그냥 친구를 좋아해야한다는 사고가 있어서 마음은 그렇지 않은데도 친구랑 같이 있음 너무 좋다고 얘기할수있다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철학 사상에 낭만, 문화, 진보 등등 있는 것이고 콜버그와 메이어는 교육과정 유형을 3개의 사상으로 나눠 분류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도하기는 특정 행동이 잘 되지 않는 유아를 반드시 특정한 방법으로 (예시처럼 세세하게 지도하여) 수행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것 입니다. 개요도의 12페이지를 참고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