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상징놀이와 사회극놀이 | ||
---|---|---|---|
작성자 | kimgayoung44 | 작성일 | 2022-01-18 22:31:28 |
조회수 | 2,054회 | 댓글수 | 2 |
사회극놀이의 6가지 요소중 4가지 요소(역할 가작화, 사물가작화, 행동 및 상황 가작화, 지속성)는 상징놀이에도 있지만, 2가지 요소(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적의사소통)는 사회극놀이에만 있다고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부분에 궁금증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
첫번째 궁금증입니다. 상징놀이의 발달 단계 중 위계적 가작화 단계에서는 가상 행동을 하지 전에 미리 계획을 세우고 이를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합니다. 책에 나와있는 예시를 보면 '우리 병원 놀이 하자, 내가 의사고 진하는 간호사야. 그리고 너희가 손님인데 배가 아파서 병원에 왔다고' 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는 사회극 놀이의 상위 의사소통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가상 행동을 하기 전에 계획한다는 의미에서 놀이의 중간에 상위 의사소통이 일어나는지 일어나지 않는지는 분명히 알 수 없지만, 놀이 전 계획을 세울때 놀이 에피소드를 구조화하고 조직화하는데 사용되는 상위 의사소통이 사용된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궁금증입니다. 상징놀이와 사회극놀이의 가장 큰 차이점이 사회극놀이에는 두명이상의 유아가 함께 참여한다는 부분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물론 혼자하는 상징놀이가 있을 수도 있지만, 책에 나와 있는 상징놀이의 예시를 보면 위의 예시와 같이 2명이상의 유아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징놀이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세번째 궁금증입니다. 언어적 의사소통의 가작화 의사소통 또한 당연히 상징놀이에 포함되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점입니다.
이론에 관한 내용을 작성하다보니 다소 딱딱한 글이 되었네요 ^ㅡ^ 여러 번 읽다 보니 내용 간의 마찰이 생긴 것 같습니다~ 교수님들 항상 감사드립니다!!
댓글목록
생각늘보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선생님의 의견이 모두 맞습니다.
선생님의 의견처럼 상징놀이와 사회극놀이를 구분하지 않은 학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사회극놀이의 6가지 요소는 스밀란스키라는 학자의 이론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기 바랍니다.
스밀란스키의 상징놀이는 혼자서 할 수도 있고 2명의 유아가 놀이하지만 언어적 상호작용을 안 해도 됩니다.
그러나 사회극놀이는 2명 이상의 유아간 상호작용과 언어적 상호작용이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가앵두님의 댓글
kimgayoung44 작성일명확히 이해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