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 - 행동주의 | ||
---|---|---|---|
작성자 | young199 | 작성일 | 2022-02-12 15:09:52 |
조회수 | 630회 | 댓글수 | 2 |
1. 반두라의 동기화 단계에서 강화의 방법은 대리강화,직접강화,자기강화까지 3개로 봐야하나요?
2. 기출 87페이지 18번에
동기화를 쓸때 소년들이~하여 어른들이 격려하고 칭찬한것까지 쓰는 것도 가능하다 하셨는데
동기화라는게 어쨌거나 강화로 인해 행동을 더 지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거니까 행동을 계속하게 된다는 이야기까지 써줘야 하지 않나요?
동기화랑 강화가 이루어진거랑 구분하는게 헷갈립니다!
3. 요약본에 행동주의가 인식론적 관점이라 되어있는데 무슨 말인가요?
댓글목록
신지원이님의 댓글
givemejin 작성일
1. 3개가 기출로 출제되었기에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동기유발은 직접 강화 또는 대리강화가 있고
사회관계영역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반두라의 자기강화에 대해 나오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2.개론책 325페이지를 참고하시면 순서도에서
동기화(강화)라고 적혀 있습니다.
또한 표 (4)동기유발 과정에 동기유발은 직접강화 또는 대리강화의 형태를 취한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즉 소년들이 사냥하고 눈 짓는 일을 하여 어른들이 격려하고 칭찬 자체만으로도 강화(동기화)가 이루어진다라고도 볼 수 있겠죠~
3. 요약본 - 구체적인 책과 페이지를 알려주세요^^*
호냥님의 댓글
young199
감사합니다 선생님 ~
그러면 동기화를 쓰라하면 동기화가 강화랑 같은 말로, 강화(격려,칭찬)의 내용까지만 써도 가능한것이지요?
3번은 발달 개요도 5페이지에 행동주의->인식론적 관점이라 적혀있는데, 이것이 무슨 의미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