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앤더슨 맥락적 분석 | ||
---|---|---|---|
작성자 | wlstlf0639 | 작성일 | 2021-11-01 07:43:26 |
조회수 | 1,058회 | 댓글수 | 1 |
앤더슨의 맥락적 분석과 아이즈너의 맥락적 차원 둘다 작품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인데 헷갈립니다. ㅠㅠ
아이즈너의 주제적 차원, 맥락적 차원과 앤더슨의 해석, 맥락적 분석 단계가 섞여서 헷갈립니다. 맥락적차원이나 맥락적 차원 모두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해 알아보는 것인데 사회문화적 맥락의 의미가 무엇이죠?ㅠㅠ 혹시 아이즈너의 맥락적 차원 예시를 아는 분 계실까요?
앤더슨의 누가 이작품을 만들었을까? 작품의 제목이 무엇일까?같은것이 사회문화적맥락이라면 아이즈너에 와서는 주제적 차원으로 이해해야 하면 될까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1. 주제적 차원과 맥락적 자원이 해석의 맥락적 분석 단계와 연결 짓는 것은 상당히 애매한 부분인 것 같아요ㅠㅠ
2. 주제적 차원은 미술표현에는 이 작품을 만든 사람의 생각과 의도가 있기 마련인데, 이러한 작가의 생각과 의도를 이해하는 것이 주제적 차원입니다~
그래서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앤더슨의 예시를 아이즈너의 이론과 끼워맞춘다면 주제적 차원으로 볼 수는 있을 것 같아요~
선생님ㅠㅠ 아이즈너는 앤더슨의 이론을 고려해서 발표하지 않았고, 앤더슨 역시 아이즈너의 이론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굳이 두 이론을 연결지어 생각하시지 않는 걸 권합니다ㅠㅠ
이 두 이론은 미술감상이라는 커다란 유목에는 속하지만 이 둘은 전혀 다른 이론이라는 걸 알아두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