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내재적 정의와 속죄적 처벌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10-17 19:18:35 |
조회수 | 453회 | 댓글수 | 2 |
무슨 차이가 있는 건가요…?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속죄적 처벌의 예시: 실수로 창문을 깨뜨린 친구에게 엉덩이를 때리는 벌을 줘야한다고 말하는 것
내재적 정의: 실수로 창문을 깨뜨린 친구를 보고 선생님이 반드시 혼낼거라고(또는 벌을 주실거라고) 생각하는 것
속죄적 처벌은 행동에 뒤따르는 댓가, 즉 어떤 벌이 뒤따르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내재적 정의는 (규칙의 절대성을 너무 강하게 믿기 때문에) 규칙을 어기면 반드시 벌이 따라온다고 믿는 것
예를 들어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는 곳에서 몰래 과자를 훔쳐 먹은 아동이
다음날 길을 가다가 넘어져서 다치면 그 아이는 자신이 어제 과자를 훔쳐 먹었기 때문에 벌을 받았다고 생각해요.
속죄적 처벌은 잘못된 행동에 대한 댓가를 치르는 벌. 금지된 행동의 본질과 관련 없는 댓가를 치르는 벌이에요.
예를 들어 창문을 깬 아이가 상황을 고려해서 창문 값을 변상하는 것보다 엉덩이를 맞아야 한다고 하는 것이에요.
이 속죄적 처벌과 반대된 개념이 (자율적 도덕성 단계에서의)
상호적 처벌이에요. 상호적 처벌은 처벌의 결과가 그 범죄에 맞춰진 처치를 말해요.
예를 들어 창문을 깬 아이는 단순히 엉덩이를 맞기보다는 (자신의 처지에 맞게) 창문 값을 변상하는 것이에요.
즉 인과 관계가 있는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논리적 결과를 스스로 책임지게 하는 것이에요.
위의 설명한 내용은 한눈에 쏙에서 참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