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고시문 | ||
---|---|---|---|
작성자 | wlstlf0639 | 작성일 | 2021-10-07 10:41:43 |
조회수 | 799회 | 댓글수 | 2 |
책에관심을 가지고 상상하기를 즐긴다와
말놀이와 이야기짓기를 즐긴다 가 헛갈려서 질문올립니다
우선 저는 적중문제 p227 28 나에서 성주는 그림보며 내용에 맞게 이야기를 해서 '말놀이와~'라고 생각했고 유미는 본 내용과 관련없이 자기마음대로 상상해서 '책에~' 라고 구분했습니다 P239 37번 명화 감상하기도 본내용을 토대로해서 `말놀이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예술경험 적중문제 하 p428 10번에
`그림 속 상황에 대해 상상해 본 후 그림의 앞뒤 이야기를 상상해서 이야기를 지어본다`의
답이 말놀이와 이야기짓기를 즐긴다 인데
그림을 본래 의미대로 감상을 끝내고 마지막에
본내용도 상상하고 이어지는 내용도 상상하니까
`책에~`아닌가요?ㅠㅠ
헛갈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말놀이와 이야기짓기를 즐긴다 가 헛갈려서 질문올립니다
우선 저는 적중문제 p227 28 나에서 성주는 그림보며 내용에 맞게 이야기를 해서 '말놀이와~'라고 생각했고 유미는 본 내용과 관련없이 자기마음대로 상상해서 '책에~' 라고 구분했습니다 P239 37번 명화 감상하기도 본내용을 토대로해서 `말놀이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예술경험 적중문제 하 p428 10번에
`그림 속 상황에 대해 상상해 본 후 그림의 앞뒤 이야기를 상상해서 이야기를 지어본다`의
답이 말놀이와 이야기짓기를 즐긴다 인데
그림을 본래 의미대로 감상을 끝내고 마지막에
본내용도 상상하고 이어지는 내용도 상상하니까
`책에~`아닌가요?ㅠㅠ
헛갈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선생님~
해설서 고시문의 내용을 임의로 해석하시기보다 내용 해설에 근거하여 해석하시길 추천드려요~
해설서 참고하시면 "말놀이와 이야기 짓기를 즐긴다."의 내용을 적중문제집 p.227의 (나)의 성주와 연결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 같아요~!
말놀이는 끝말잇기, 수수께끼, 스무고개 등과 같은 것을 지칭하며
이야기 짓기는 자신의 경험, 생각, 상상을 기초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지칭해요~
'내용 이해'와 '유아 경험의 실제'가 일대일 대응 방식은 아니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말놀이와 이야기 짓기를 즐긴다의 예시는 옆에 있는 "서은이가 친구들에게 이야기를 한다. ~ 유아들: 헤엑~~"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이를 보시면 p.428의 정답이 "말놀이와 이야기 짓기를 즐긴다."인 이유를 아시지 않을까 싶어요~!
공부열매화이팅님의 댓글
gihyesss1 작성일
첨부하자면 '책에 관심을 가지고 상상하기를 즐긴다.'는
유아가 책(동화)에 정말 관심을 갖거나
+ 교사가 '동수가 만약 00이처럼 됐다면 어땠을까?'정도로 책내용을 근거로 자유롭게 생각하여
상상하게 유도해내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