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언어의 기능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8-31 21:30:37 |
조회수 | 664회 | 댓글수 | 1 |
언어의 기능은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셔서 질문 드립니다..!
유아가 배가 고파서 과자를 먹고싶다는 욕구가 있을 경우에!!이를 충족시키고자 (욕구에 근거한 행동이라는 동일한 맥락) “과자 좀 주세요”하고 한다면,
할리데이는 도구적 기능, 스타브는 통제에 해당하나요??
교재 418쪽을 참고하면 할리데이는 도구적 기능에 ‘물한컵 주세요.’가 있고, 스타브 통제에 “과자좀 주세요”가 있습니다. 이 예시로 인해 인지적 갈등이 생기는것같아요..
욕구 충족시 ~~주세요. 한다면
할리데이는 도구적, 스타브는 통제 맞나요??
아님 할리데이는 도구적, 스타브도 사회적 욕구 주장인가요??
유아가 배가 고파서 과자를 먹고싶다는 욕구가 있을 경우에!!이를 충족시키고자 (욕구에 근거한 행동이라는 동일한 맥락) “과자 좀 주세요”하고 한다면,
할리데이는 도구적 기능, 스타브는 통제에 해당하나요??
교재 418쪽을 참고하면 할리데이는 도구적 기능에 ‘물한컵 주세요.’가 있고, 스타브 통제에 “과자좀 주세요”가 있습니다. 이 예시로 인해 인지적 갈등이 생기는것같아요..
욕구 충족시 ~~주세요. 한다면
할리데이는 도구적, 스타브는 통제 맞나요??
아님 할리데이는 도구적, 스타브도 사회적 욕구 주장인가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책에 있는 예시는 참고 사항에 가깝습니다ㅠㅠ
학자들이 이론을 정의할 때 예시의 맥락을 생략해서 제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예시의 형태소를 맹신하고 암기해서 넘어가면 오개념이 생길 수 있어요ㅠㅠ
책에 있는 정의를 이해하고 암기를 하시고
이 내용을 문제의 발문과 적용해서 답을 찾는 것이
임용고시의 핵심이에요ㅠㅠ
그래서 맥락을 보고 이 발문이
타인의 행동이나 감정, 태도를 통제하고 조정하는 의미이면 통제적 기능와 통제로
언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면 도구적 기능과 사회적 욕구의 주장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