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고웬 상징놀이, 기출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8-06 16:36:48 |
조회수 | 896회 | 댓글수 | 1 |
첨부파일 | ![]() |
1. 473쪽에 자기상징 예시로 ‘유아가 빈 컵을 들고 꿀꺽 소리를 내며 무엇인가를 마시는 흉내를 낸다.’가 있는데 빈 컵은 실제로 물이 없는데 있는 것처럼 한거니까 가상적 사물인물단계에도 속하지 않나요?? ㅜㅜ
가상적 사물인물단계 예시 ‘유아가 빈 장난감 주전자를 기울이며 커피 드세요라고 한다.’ 에서도 주전자에는 아무것도 없는데 커피가 있다고 생각하잖아요..
2. 계획적 상징단계는 어떠한 놀이를 하기 위해 ‘우리~하자. ~역할이야.’ 이렇게 상위의사소통처럼 계획하는 것 말고도
어떠한 놀이를 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나 환경을 구성하고 만드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인가요? 예를들면, 동물원 놀이를 하기 위해 울타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여기는 이렇게 저렇게 만들 계획이야.’라고 한다면 계획적 상징이 되나요?!
3. 파일은 기출문제인데요,(2)번에 “똑똑 꽃사러 왔어요”는 왜 답이 되지 않나요??
가상적 사물인물단계 예시 ‘유아가 빈 장난감 주전자를 기울이며 커피 드세요라고 한다.’ 에서도 주전자에는 아무것도 없는데 커피가 있다고 생각하잖아요..
2. 계획적 상징단계는 어떠한 놀이를 하기 위해 ‘우리~하자. ~역할이야.’ 이렇게 상위의사소통처럼 계획하는 것 말고도
어떠한 놀이를 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나 환경을 구성하고 만드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인가요? 예를들면, 동물원 놀이를 하기 위해 울타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여기는 이렇게 저렇게 만들 계획이야.’라고 한다면 계획적 상징이 되나요?!
3. 파일은 기출문제인데요,(2)번에 “똑똑 꽃사러 왔어요”는 왜 답이 되지 않나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1. 자기 상징기의 예시는 유아의 신체나 일상생활에서 흔히하는 컵을 들고 마시는 행동이지만
가상적 대행기의 예시는 유아가 커피를 다려서 마시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가상적 대행기에 더 적절하지 않을까요?ㅠㅠ
책에 있는 모든 예시들은 학자가 쓴 원문 그대로 발췌하면 좋겠지만
대학 교수님들이 각론서를 낼 때 분량상 요약해서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어요ㅠㅠ
그렇기 때문에 맥락상 조금 어색한 예시도 있는 경우가 발생해서
책에 제시된 예시를 100% 신뢰해서 알고 있는 것보다
제시된 설명으로 알아둔 뒤에 예시는 참고적으로 알아두는 것을 권해드립니다ㅠㅠ
2. 놀이를 하기 위한 사전 계획 모두를 칭하는 것 같습니다~
3. 이 설명은 박성희 교수님께서 설명하신 것 같아요ㅠㅠ
모범답안을 바꾼 이유를 알고 싶으시다면
기출강의 19강 10분쯤부터 들으시면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