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신체운동건강]감염병 대응 - 유증상자와 의심환자 | ||
---|---|---|---|
작성자 | dmswls4037 | 작성일 | 2021-07-23 11:04:41 |
조회수 | 663회 | 댓글수 | 2 |
감염병 대응 매뉴얼에서
예방단계에서 유증상자 발견 시 1단계로
1단계에서 의심환자 발생 시 2단계로 가는데
유증상자와 의심환자 구분이 어려워요ㅠㅠ
찾아봤는데 거의 구분이 안되서요ㅠㅠ
어떤 차이가 있나요??
예방단계에서 유증상자 발견 시 1단계로
1단계에서 의심환자 발생 시 2단계로 가는데
유증상자와 의심환자 구분이 어려워요ㅠㅠ
찾아봤는데 거의 구분이 안되서요ㅠㅠ
어떤 차이가 있나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7120
2020년에 나온 뉴스에서 나온 내용인데
의심환자, 유증상자, 조사대상 유증상자 라는 용어들이
마구 혼용되어서 사용되고 있어서
보건당국에서 혼란을 방지하고자 의사환자라는 용어로 통일했대요~
감염병 대응 매뉴얼은 그보다 훨씬 전에 나온 자료라서
제 생각에는 의심환자와 유증상자를 같은 용어 같아요!
그런데 이 둘을 구별하는 문제는 나오기 힘들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ㅠㅠ
꼭공립교사되자님의 댓글
dmswls4037
답변 감사해요!!!
그럼 예방단계에서 1단계로 가는 거랑...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가는 건 어떻게 구분지어야 하죠?ㅜㅜ
둘다 의사환자 발생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거 일텐데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