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논술] 반점의 사용에 대한 의문
작성자 bbi032 작성일 2021-07-23 11:42:02
조회수 954회 댓글수 1

논술 복습을 하다가 교수님께서 나눠주신 자료에 직무스트레스 논술문 작성 피드백에서

모범답안  1번에 내용중 '정 교사가 겪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간관계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이렇게 문장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반점이 너무 많이 사용되어 문장이 어색하다 생각이들기도 하고, '인간관계측면에서' 이문장 자체가 말할 순서를 이야기 하기 때문에 '먼저'를 빼도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해서 모범답안을 분석하다가  교수님의 입장에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 질문드려봅니다

 

또한 문장부호의 사용도 채점요소로 들어가나요? 반점은 어떨때 사용하는게 맞는건가요 정해진 방식이 있나요?

  • 목록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선생님~ 저도 선생님 글을 보고 궁금해서 찾아봤는데요!

일단 문장 부호의 사용은 맞춤법에 해당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채점 요소에 포함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선생님께서 언급하신 반점은 가독성을 이유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잦은 반점의 사용은 오히려 가독성을 해치기 때문에 지양하는 것도 맞다고 알고 있어요~!

다만 반점이 사용되어야 하는 때를 명확히 알고 싶어서 찾아보니
국립국어원에서 쉼표가 사용되어야 하는 때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네요!ㅎㅎ
https://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195

(4)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마음이 편해야 한다.
해설
여러 가지 내용을 열거할 때 사용하는 ‘첫째, 둘째, 셋째……’, ‘먼저,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등과 같은 어구 다음에는 쉼표를 쓴다.

이건 제 생각이지만 선생님게서 말씀해주신 모범답안은 각 측면이 나뉘기 때문에
"먼저, 다음으로"와 같은 표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그 뒤에 쉼표 또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굳이 쉼표를 뺀다면 "살펴보면," 뒤에 있는 쉼표를 빼도 괜찮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보고..ㅎㅎ
이 또한 국립국어원 사례를 보면 "~~면" 뒤에 쉼표를 쓰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제시해주고 있긴 하네요!

(5)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
해설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는 절과 절 사이에 쉼표를 쓴다. 그런데 이 말은 문장의 연결 관계가 쉼표 없이도 분명히 드러난다면 (15)처럼 쉼표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
(15) 발표회가 끝나면 바로 회사로 돌아가야 합니다.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54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22 부모교육[에릭번] 문의드립니다. 댓글(3) syoung0910 21-07-25 863
4821 [오타문의] 한눈에쏙 댓글(1) yule 21-07-25 1112
4820 노래극과 음악극 댓글(1) gkrud831 21-07-24 951
4819 [의사소통]영역별 기출 문제집 56번 댓글(1) cindy98jh 21-07-24 535
4818 [부모교육] 상호교류분석이론, 버거 부모참여 댓글(1) hyojung1120 21-07-24 749
열람중 [논술] 반점의 사용에 대한 의문 댓글(1) bbi032 21-07-23 955
4816 [사상] 코메니우스 교육목적 댓글(1) bbi032 21-07-23 569
4815 [신체운동건강]감염병 대응 - 유증상자와 의심환자 댓글(2) dmswls4037 21-07-23 664
4814 [신체운동건강] 걷기 평형성 gmg6203 21-07-22 592
4813 [의사소통]-조음장애 댓글(1) susan987 21-07-22 669
4812 [자연탐구] 창의성 댓글(1) hyojung1120 21-07-22 756
4811 [평가]-평정척도 장점/단점 댓글(1) lsy120 21-07-22 1169
4810 [자연탐구] 오개념 쓰기 댓글(1) 첨부파일 hyojung1120 21-07-22 570
4809 [평가]조작적정의 댓글(1) powerup96 21-07-22 715
4808 [오타문의] 영역별 적중문제집 하 댓글(1) dbswls9222 21-07-22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