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부모교육] 상호교류분석이론, 버거 부모참여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7-24 16:41:43 |
조회수 | 749회 | 댓글수 | 1 |
1.
상호교류분석이론에서 시간 구조화 방법 중 친밀함이 ‘두 사람 모두 순수 아동 자아 상태의 사고, 행동, 감정을 통해 관계를 맺는것’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친밀함이 최종 목표라고 해서 아동자아 뿐만 아니라 성인, 부모자아가 골고루 작동되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설명에서는 아동자아상태만 언급되어 있어서 혼란이 옵니다.. 상호교류분석에서는 세 자아상태가 골고루 되기보단 아동자아상태를 통해관ㄱㅖ 맺는걸 더 강조하나요? 왜 친밀함엔 아동자아 설명만 있을까요?!
2. 버거 부모참여 유형에 고용된 자원인사로서의 부모 예시로 다문화 가정의 부모가 오셔서 여가선용활용하는 걸 들어주셨는데 이는 자원인사 자원봉사자에 해당하는 것 같아서요..
자원인사 자원봉사자는 부모가 꼭 특별한 ‘전문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봉사하는거고, 고용된 자원인사는 “일정 기간 훈련”을 받고 + 지식이 있다기 보다는 기관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걸 말하나요??
상호교류분석이론에서 시간 구조화 방법 중 친밀함이 ‘두 사람 모두 순수 아동 자아 상태의 사고, 행동, 감정을 통해 관계를 맺는것’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친밀함이 최종 목표라고 해서 아동자아 뿐만 아니라 성인, 부모자아가 골고루 작동되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설명에서는 아동자아상태만 언급되어 있어서 혼란이 옵니다.. 상호교류분석에서는 세 자아상태가 골고루 되기보단 아동자아상태를 통해관ㄱㅖ 맺는걸 더 강조하나요? 왜 친밀함엔 아동자아 설명만 있을까요?!
2. 버거 부모참여 유형에 고용된 자원인사로서의 부모 예시로 다문화 가정의 부모가 오셔서 여가선용활용하는 걸 들어주셨는데 이는 자원인사 자원봉사자에 해당하는 것 같아서요..
자원인사 자원봉사자는 부모가 꼭 특별한 ‘전문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봉사하는거고, 고용된 자원인사는 “일정 기간 훈련”을 받고 + 지식이 있다기 보다는 기관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걸 말하나요??
댓글목록
리유님의 댓글
yule 작성일
세가지 자아는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작동해야합니다. 언제나 늘 골고루 작동해야한다는 의미보다는 친밀함을 나누는 상황은 유아들이 놀이를 할때처럼 순수한 어린이자아가 작동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판사가 판결을 내릴땐 성인자아를 작동할테고 퇴근하고 집에가서 자녀를 돌볼땐 양육적부모자아를 쓰는 것, 친구를 만나면 맘편히 어린이자아를 사용하는 것~~ 이런 의미에서 세가지 자아는 골고루 작동해야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