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과학교육] 교사 역할 & 과학적 탐구 기능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7-21 20:00:25 |
조회수 | 535회 | 댓글수 | 1 |
1. 창의적 환경 제공자의 교육적 환경은
“교육적 환경 : 물리적 환경을 포함하여 교육계획, 활동 구성, 견학 계획 등 “ 라는 것을 도란도란통해 알게되었는데요,
그럼 계획자와는 어떤점이 다른가요?
2. 과학 과정의 의사소통하기와 과학적 탐구기능의 토의하기는 같은건가요? 그렇다면 문제에 출제되면 혼용해서 사용해도 되나요?
“교육적 환경 : 물리적 환경을 포함하여 교육계획, 활동 구성, 견학 계획 등 “ 라는 것을 도란도란통해 알게되었는데요,
그럼 계획자와는 어떤점이 다른가요?
2. 과학 과정의 의사소통하기와 과학적 탐구기능의 토의하기는 같은건가요? 그렇다면 문제에 출제되면 혼용해서 사용해도 되나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1. 선생님ㅠㅠ 제 생각에는 이 내용은 시험에 나올 가능성이 낮을 것 같아요ㅠㅠ
내 자신이 출제진이라고 생각하고
임쌤 수강생이 아닌 분들도 맞출 수 있게끔 낸다고 생각하시면
이 지식을 낼 근거가 많이 부족할 것 같아요ㅠㅠ
학자에 근거하여 제시하기에는 학자가 얘기한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각론서에 있는 내용이 아니라서 다들 모르는 내용으로
답이 엄청 우후죽순으로 나올 것 같아요ㅠㅠ
그래서 아마 출제될 가능성이 낮은 내용인 것 같아서
그냥 이런 내용이 있구나 정도로만 생각하시는 것을 권해드려요ㅠㅠ
2. 『놀이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활동자료, 2004』에서 토의하기 내용은 없지만
의사소통하기를 유아가 서로의 생각을 주고받거나 사물을 설명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기술이라 설명하고
『종일반 특성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 과학창의교육 활동자료, 2008』에서
의사소통하기 내용은 없지만
토의하기를 과학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유아 간, 유아와 교사 간에 서로 생각을 주고 받거나 질문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느끼기에는 내용이 유사하다고 판단이 되서 유사 단어라고 생각이 드는데
선생님께서 읽어보시고 구별하시길 권해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