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기출 67(2) p272 | ||
---|---|---|---|
작성자 | rlswlsgml12 | 작성일 | 2021-07-10 23:41:15 |
조회수 | 616회 | 댓글수 | 1 |
(손가락으로 한 글자 한 글자 가리키며) 빨-강-우-산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소리가 난다/ 글자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읽는다/ (손가락으로 한 글자 한 글자 가리키며) 이 부분이 단서가 되므로 그림을 근거로 읽는 것은 아니다 라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설명해주신 부분 다 이해가 되는데, 모범답안에서 '음절단위로 모아쓰기 때문에 한 글자에서 하나의 소리가 난다.'가 아니라 왜 '음절단위로 모아쓰기 때문에 모르는 글자도 쉽게 읽을 수 있다.'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규칙적이기 때문에 모르는 글자를 쉽게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닌가요?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것도 글자를 쉽게 읽을 수 있게 하는 한글의 특성인가요?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소리가 난다/ 글자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읽는다/ (손가락으로 한 글자 한 글자 가리키며) 이 부분이 단서가 되므로 그림을 근거로 읽는 것은 아니다 라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설명해주신 부분 다 이해가 되는데, 모범답안에서 '음절단위로 모아쓰기 때문에 한 글자에서 하나의 소리가 난다.'가 아니라 왜 '음절단위로 모아쓰기 때문에 모르는 글자도 쉽게 읽을 수 있다.'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규칙적이기 때문에 모르는 글자를 쉽게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닌가요?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것도 글자를 쉽게 읽을 수 있게 하는 한글의 특성인가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선생님ㅠㅠ
모르는 글자를 그냥 읽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한 글자씩 손가락으로 짚어가면서
음절 소리와 글자를 하나씩을 연결하면서 읽고 있기 때문에
'음절과 글자를 일대일 대응시키면' 이라는 부분을 빼서
기출문제 모범답안을 분석하시면 혼란이 오실 것 같아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