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자기 통제력, 혼합모델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7-12 15:58:27 |
조회수 | 1,420회 | 댓글수 | 2 |
1. 자기 통제력의 하위 요인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 만족지연능력,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
이 세가지가 부분적으로 겹쳐보여서 구분하기는 힘든가요?! 혹시나 하여 이것들을 구분하는 문제는 나올 가능성이 희박하겠죠..?
2. 혼합모델 ‘자기 동기화’에 만족지연과 정서통제능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정서통제능력은 ‘정서조절’에도 해당되는 내용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이 세가지가 부분적으로 겹쳐보여서 구분하기는 힘든가요?! 혹시나 하여 이것들을 구분하는 문제는 나올 가능성이 희박하겠죠..?
2. 혼합모델 ‘자기 동기화’에 만족지연과 정서통제능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정서통제능력은 ‘정서조절’에도 해당되는 내용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1. 구분할 수는 있을 것 같아요ㅠㅠ
유혹저항능력은 즐거움을 주는 것에 대한 유혹을 뿌리치는 능력이고, 충동억제능력은 옳은 행동을 하기 위해 행동, 정서, 결론, 선택을 억제하는 능력이고, 만족지연능력은 더 큰 보상을 얻기 위해 지금의 욕구나 만족을 참는 능력을 말해요~
2. 다른 학자가 얘기한 것을 서로 엮지 않는 것을 자꾸 권해드리네요ㅠㅠㅠ 왜냐하면 시험장에서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아요ㅠㅠ
효동잉님의 댓글
hyojung1120
2번 질문을 제가 정교하게 쓰지 못한 것 같아요 죄송합니다 ㅎㅎ;;
정서조절과, 자기동기화의 정서통제능력이 유사하게 보여서 구분하기 어려워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는 뜻이였습니다!
*항상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