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자연탐구] | ||
---|---|---|---|
작성자 | roddb87 | 작성일 | 2021-07-04 10:13:24 |
조회수 | 629회 | 댓글수 | 1 |
여러가지 질문입니다.
1.첫번째는 기하도형에 대한 이해 설명해주실때 기하도형은 유클리드 공간이라고 설명해주셨는데.
큰 범주에 기하도형에 대한 이해하고, 그 아래 피아제 하고, 위상공간,투사공간,유클리드 공간 이렇게 나와
있는데 기하도형이 유클리드 공간인데, 왜 피아제 저 3가지 범주안에 묶어 놓았는데 그러면 위상,투사는
기하도형이 아니지 않나요? 뭔가 헤갈려요 .ㅠㅠ
2.연계하기의 정의는 뭘까요? 하도 여러 설명들이 많아서 시험에 나올때 어떻게 개념을 써야 할 지 헤갈립니다.
3.반힐레(62쪽) 2수준 기술적, 분석적 인식 수준에서 맨 만지막 문장에"그러나 도형사이의 관계는 인식하지 못한다."이 뜻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4.패턴능력의 발달
3수준 (패턴의 구성 및 전이단계)에서 언어적 표상에 의한 설명은 어렵다. 에게 무슨 말인가요? 교수님이 강의하신 내용은 "숫자와 같은 ,언어" 이렇게 말씀하였는데 상징적으로 기호나 숫자로 다시 재표상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인지, 아니면 유아가 말로 나는 "동그라미 세모 동그라미 세모"이렇게 놓았어 이렇게 자신의 패턴을 말로 이야기 하지 못한다는 소리인가요?
5.교재에 대수나 대수적인 사고라는 말이 나오는데, 대수의 뜻이 뭔가요?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1. 피아제가 이 세 가지를 설명했다는 정도만 아셔도 시험문제를 푸시는 데에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아요ㅠㅠ 이 이상의 내용은 우리 전공에서 심화된 내용인 것 같아서요ㅠㅠ
2. 연계하기의 설명이 어떤 영역들의 설명일까요?ㅠㅠ 만약 여러 영역에서 나왔다면 글자만 같은 뿐이지 의미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암기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ㅠㅠ
3. 다른 선생님께서 같은 질문을 도란도란에 하셔서 댓글 남겨요~
기술적 분석적 수준에서는 도형의 특성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그리고 심화문제의 예시를 보시면 도형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삼각형 두개를 합치면 사각형이 된다는 도형조작도 가능합니다.
다만, 기술적 수준에서는 점, 선, 면, 각과 같은 수학적 명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단계로 사각형과 사다리꼴같이 명제를 통한 비교는 어려운 단계로 알고 있습니다.
4. 다른 선생님께서 같은 질문을 도란도란에 하셔서 댓글 남겨요~
언어로 규칙을 표상한다는것
바나나 원숭이 바나나 원숭이 바나나 / A B A B
사과 사과 빨간색 사과 사과 초록색 / A A B A A C
요런식으로 언어로도 규칙을 표현할수 있다는 건데 언어발달이 미숙하니까 언어로 규칙표상 못하고 설명도 못한다고 이해했어여~
5. 대수 : 개개의 숫자 대신에 숫자를 대표하는 일반적인 문자를 사용하여 수의 관계, 성질, 계산 법칙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현재는 덧셈이나 곱셈 같은 요소 간의 결합이 정의된 집합, 즉 대수계를 연구하는 학문도 포괄한다.
출처 : 네이버 어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