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미술] 2015년 기출 금붕어 문제 - 펠드만 단계
작성자 yule 작성일 2021-06-28 21:24:35
조회수 1,351회 댓글수 5

2015 금붕어 문제 


금붕어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니?

이 그림은 무엇으로 그렸을까? 에 대한 단계 질문드립니다.

 

금붕어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니? 라는 질문에 저는 제일 먼저 

금붕어가 너무나 작은 어항 속에 갇혀있어 불쌍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림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니 마티스는

모로코가 식민지가 되었던 1912년에 모로코를 여행하며 저 그림을 그렸다고 하네요.

 

태양의 나라인 모로코를 빨간 금붕어로, 식민지가 된 모로코를 작은 어항속에 갇혀 있는 금붕어로 작가가 표현한게 아닌가하는 해석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금붕어의 표정 또한 식민지배를 받는 모로코인들을 나타내는 것만 같습니다 ㅠㅠ

 

게다가 마티스는 금붕어를 상징처럼 다른 그림에서도 많이 그렸는데요.

 

이런 맥락을 생각해보면 '금붕어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니? 라는 질문이 [해석]으로 다가옵니다.

 

금붕어의 모습을 보면 7살 유아도 '금붕어가 너무 좁은데 있어서 답답할것 같아요.' 라는 대답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구요..

 

때문에, 마티스 금붕어의 그림에서 '나뭇잎이 어떤 모습이니?'와 '금붕어가 어떤 모습이니?'를 물은것은

너무나 다른 해석을 가져올 수 있는 발문이라 생각이 되어집니다 ㅠㅠ

 

단순히 분석단계의  미술적 요소, 기법을 물은 것 그 '이상'이라고 느껴지는데요...

 

 

또 다른 교재에서 해석하기 단계에 - '그림 속의 사람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라는 발문이 있는 것을 보고 더더욱이 그렇게 느껴졌습니다...

 

 

 

 

다음으로 '이 그림은 무엇으로 그렸을까' 질문이 분석하기 단계가 아닌지 질문드립니다.

학지사 유아미술교육책에서는 펠드만의 분석단계는 미술적요소, 원리, 기법등의 미술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라는 설명과 '이 그림은 어떤 방법으로 그렸을까? 라는 발문을 할 수 있다고 예시가 나와있습니다.

 

'이 그림은 무엇으로 그렸을까?' 라는 질문 또한 미술의 기법을 묻는 질문으로서

  '분석하기'단계가 되지 않을까요?

 

 

결론적으로 2015 금붕어 문제 답안에서

분석하기는 - 이 그림은 무엇으로 그렸을까?

해석하기는 - 금붕어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니? 라고 생각이 듭니다..

 

많은 수강생들이 질문을 올렸으나  충분한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ㅠㅠ

너무 답답해서 서점에서 여러권의 책도 보고..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구해주세용 ㅠㅠ!!!!!

 

 

 

-----------------------------------------------------------------------

덧붙여서 반고흐의 - '해바라기' 그림도

반고흐는 이 해바라기를 자신과 동일시하며 그렸고 그 해바라기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반고흐의 병세가 악화되었던 후반기로 갈수록 해바라기 모습 또한 더 어둡게 달라졌었고요...

 

- 미술 심리분석을 할 때도 아이가 그림을 어떻게 그렸냐에 따라서, 

즉 그림의 '모습'에 따라서 아이의 심리적 상태를 해석하고는 하는데요

 

따라서.... 생각할 수록 작품에서 그림이 어떤 모습으로 표현이 되었는가를 질문하는 것은 

해석같습니다..... ㅠㅠ

 

 

 

 

 

  • 목록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모습=모양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생님께서 생각하신 모습의 정의는 주관적인 해석이 포함된 내용이라
디테일하고 깊은 생각을 해서 어려움을 겪으신 것 같아요ㅠㅠ


이 그림은 무엇으로 그렸을까? 에 대한 질문은 임미선 교수님께서 다신 댓글을 알려드릴게요~

미술 감상 활동에서 교사의 발문을 맥락 없이 따로 분리해서 보면 어느 단계인지 좀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 동일한 문장이라도 질문의 의도가 무엇인가에 따라 단계를 다르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작가가 사용한 재료의 경우 화가의 대표적인 제작 기법과 관련되어 있을수도 있고 단순하게 보이는대로의 재료의 특성을 인식하기 위한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해바라기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제 생각에는
우리가 유아에게 미술감상에 관한 활동을 진행한다고 가정을 하고 생각했을 때
반고흐의 일생에 대한 설명을 하고 활동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가 많을 것 같아서
유아가 심도있게 생각을 하기 위한 발문을 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ㅠㅠ
그래서 해바라기의 모습이 반고흐가 해바라기를 동일시 한다라는 내용은
조금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면 더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ㅠㅠㅠ

리유님의 댓글

yule 작성일

어떻게 모습이 모양이 될수있을까요....ㅠㅠ  교직생활 경험상 마티스의 금붕어를 보고 '어떤 모습이냐'는 질문에 유아들이 모양에 대한 답변을 하기는 상당히 어려울것으로 판단됩니다...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댓글의 댓글 작성일

선생님~ 찾아보니 양서원의 유아미술교육에서 어떤 모습을 하니? 라는 발문이 기술의 예시라 되어 있다고 나오네요ㅠㅠ 아마 출제진이 이 책을 보고 출제하지 않았을까라는 추측을 해봅니다ㅠㅠ

리유님의 댓글

yule 댓글의 댓글 작성일

그림에 따라 혹은 교사의 의도에 따라 '기술'은 될 수도 있을것같네요

.그리고 해바라기와 미술 심리 예를 든것은
그림의 모습이 어떻게 표현되었느냐에는
작가의 생각. 감정. 의도. 기분. 정서 등등이 나타난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것입니다ㅠㅠ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선생님~

저는 작품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서 그런지 선생님이 대단하신 것 같아요!!
다만 제 생각에도 윗 선생님과 동일하게 다른 맥락 없이 "~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니?"만 물었다면 이건 기술 단계라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펠드만의 기술은 작품에서 보이는 모습 그 자체를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해석의 발문이 되려면, 이 발문을 통해 유아들에게 작가 혹은 작품의 배경에 대해 알거나 추측해볼 수 있는 발문이 되어야 할 것 같아요~! ex_작품 속의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작품에 나타난 상황 전에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임용시험은 국가 시험이기 때문에 수험생 입장에서 갖고 있는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것보다는 이러한 것들을 최대한 배제한 채 객관적으로 문제만을 보고 판단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58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762 언어발달 이론 댓글(1) hwa10 21-06-30 811
4761 [의사소통]영역별 기출문제(하) 댓글(1) zosel8523 21-06-30 631
4760 유아식단 공급량 댓글(1) kimmr9137 21-06-30 544
4759 [오타문의] 영역별 기출문제집 하 댓글(1) dbswls9222 21-06-29 594
4758 [오타문의] 한눈에쏙 댓글(1) dbswls9222 21-06-29 668
4757 [의사소통] 스타브, 스코트 댓글(1) hyojung1120 21-06-29 749
4756 신체운동- 리본막대 흔들기 댓글(2) dbswjd69 21-06-29 808
4755 신체>개인공간- 일반공간/ 범위 댓글(5) dbswjd69 21-06-29 995
4754 굿모닝퀴즈 사회적탐구의절차 댓글(2) riverwisdom429 21-06-29 589
4753 [아동복지] 카두신 댓글(1) apalsdl3689 21-06-29 1481
4752 미세먼지 질병결석 & 생기부 출석 인정 댓글(2) 첨부파일 dmswls4037 21-06-29 808
4751 발달심리 개요도 질문입니다^^ ljh205102 21-06-29 584
열람중 [미술] 2015년 기출 금붕어 문제 - 펠드만 단계 댓글(5) yule 21-06-28 1353
4749 [논술] 브론펜브레너 이론에 근거한 가정-연계의 필요성 leegw0908 21-06-28 600
4748 [의사소통] 언어 구성요소 댓글(3) hyojung1120 21-06-28 1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