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교육과정론] 교수 행동 유형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09-12 11:34:05 |
조회수 | 235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
김교사의 두 대화 모두 교사가 유아의 정보를 다른 유아에게 전달하고 있거 지도하기라고 생각했습니다.
2) 시범 보이기가 교사의 행동뿐만 아니라 교사의 말을 유아가 관찰하는 것도 해당되는건가요?
3) 김교사: 그랬구나. 정말 속상했겠다. 가 인정하기에 해당되는 것은 이해가 됐지만, 다른 문제에서 (낙엽이 구르는 모습을 표현하는 유아에게) “정말 멋지다.” 라고 표현한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습니다. 정말 멋지다와 마찬가지로 정말 속상했겠다 라는 말도 추상적인 말 아닌가요? “은미도 키보드 치고 싶었는데 민서 언니만 해서 속상했겠구나.” 이런식으로 구체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도란도란 검색과 강의 모두 듣고 헷갈려서 다시 한 번 질문 남깁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1. 어느유형에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교사의 모든 말이 교수행동 유형에 해당되진 않아요. 답안이 아닌 부분에 대한 기출 분석 시 유의하셔야할거같아요! 답외의 부분에 대한 분석은 추측에 불과해서 오히려 오개념이 형성될 것 같아요ㅜㅜ
2. 보통은 두번째 사진처럼 ~를 잘 봐보자. 처럼 유아가 관찰하는 동안 교사가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본 기출도 그래서 수강생들의 질문이 많았어요. 교수님께서는 기출에서 최대한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하므로 해당되는 답이 시범보이기에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것에 포커스를 두라고 하셧습니다..!
3. 선생님 말씀도 일리가 있겠지만 해당 문제는 교사의 발문에 대해 문제점을 적는 것이 아니었지요...? 그러므로 출제자가 낸 지문에 문제점을 찾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아요ㅠㅠ 물론 기출도 문제점이 많고 허점이 많습니다. 출제자들이 정교하게 내지 않기 때문이에요. 이미 낸 문제에 대해 의문을 품는 것 보다는 해당 문제에서 출제자가 물어보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중점으로 기출을 분석하시는 것이 중요한거같아요!
질문하신 내용이 답 외의 문제에 대해서 궁금해하신게 많으신데 시험이 얼마 안남았으므로 기출 분석 하실때 내가 현재 초점을 어떻게두고 분석해야하는지 잘 판단하시는 것이 중요할것같아요! 이미 출제자가 내버린 문제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것은 시간이 너무 부족한듯 싶습니다ㅠㅠ
haily님의 댓글
hyeon5103
답변 감사합니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문제를 보고 이해해야겠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