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사론] 교사/교수 효능감 | ||
---|---|---|---|
작성자 | b31179 | 작성일 | 2023-09-15 15:44:12 |
조회수 | 259회 | 댓글수 | 0 |
교수 효능감에 대해 찾아보던 중 도란도란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수효능감은 같은 의미로 학자에 따라 구분하라는 댓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1. 반두라는 자아효능감을 제시했고 그 하위요소로는 효능감기대, 결과기대가 있습니다. 반두라는 교수 효능감이나 교사 효능감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은 건지요 ? 그렇다면 반두라의 이론에 기초해서 써야 할 경우 주체가 교사인지 아니면 가르치는 것인지에 따라 구분하면 되는 것 일까요? 이를 어떻게 구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2. 랜드그룹이 제시한 일반 교수 효능감과 개인 교수 효능감 중 일반 교수 효능감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책에는 '학생의 성취를 통제하는 요인-> 교사, 학생, 환경' 으로 요약되어 나와 있는데 이는 통제 소재가 외적인 요인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것이고 일반 교수 효능감이 무엇인지 설명이나 정의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깁슨과 뎀보라는 학자가 제시한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동일한 의미로 생각하면 될 지도 궁금합니다.
1. 반두라는 자아효능감을 제시했고 그 하위요소로는 효능감기대, 결과기대가 있습니다. 반두라는 교수 효능감이나 교사 효능감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은 건지요 ? 그렇다면 반두라의 이론에 기초해서 써야 할 경우 주체가 교사인지 아니면 가르치는 것인지에 따라 구분하면 되는 것 일까요? 이를 어떻게 구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2. 랜드그룹이 제시한 일반 교수 효능감과 개인 교수 효능감 중 일반 교수 효능감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책에는 '학생의 성취를 통제하는 요인-> 교사, 학생, 환경' 으로 요약되어 나와 있는데 이는 통제 소재가 외적인 요인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것이고 일반 교수 효능감이 무엇인지 설명이나 정의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깁슨과 뎀보라는 학자가 제시한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동일한 의미로 생각하면 될 지도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