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친사회적 행동 발달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09-16 20:06:40 |
조회수 | 247회 | 댓글수 | 1 |
1) 돕기 행동의 발달에서 내적 주도성-구체적 보상과 일반화된 호혜성 둘 간의 차이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내적 주도성-구체적 보상은 자발적으로 돕기 행동을 하면서 보상에 대한 기대가 있는 것이고, 일반화된 호혜성은 위기에 처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면 자신도 보답으로 도움을 받을 것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두 개 모두 어떠한 기대가 있다는 점에서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되는데, 어떻게 구분하나요?
2) Kohlberg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 단계에서 2단계-심리적 강화에 의한 복종단계의 예시로 ‘남을 도우면 칭찬을 받을 수있겠지’ 가 있는데, 왜 심리적 강화에 의한 복종단계인가요?
도우면 칭찬을 받는다. 즉, 사회적 승인을 얻기 위한 규범적 행동 단계에 해당되는거 아닌가요…? ㅠㅠ
내적 주도성-구체적 보상은 자발적으로 돕기 행동을 하면서 보상에 대한 기대가 있는 것이고, 일반화된 호혜성은 위기에 처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면 자신도 보답으로 도움을 받을 것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두 개 모두 어떠한 기대가 있다는 점에서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되는데, 어떻게 구분하나요?
2) Kohlberg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 단계에서 2단계-심리적 강화에 의한 복종단계의 예시로 ‘남을 도우면 칭찬을 받을 수있겠지’ 가 있는데, 왜 심리적 강화에 의한 복종단계인가요?
도우면 칭찬을 받는다. 즉, 사회적 승인을 얻기 위한 규범적 행동 단계에 해당되는거 아닌가요…? ㅠㅠ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내적주도성-구체적 보상에서 자발적으로 돕기행동을 하는 것은 내가 돕기 행동으로 함으로 인해타인의 인정이나 칭찬을 받을 것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일반화된 상호호혜성에서는 내가 위기에 처한 사람을 돕고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한다는 것의.의미는 나도 위험에 처했을 때 도움을 받을 것이다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설명되어있는 예시보다는 각 단계에 대한 개념에 더 초점을 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남을 도우면 칭찬을 받겠지'는 그 전단계로부터 이미 학습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리적강화에 의한 추종단계는 권위자에게 복종하고 지시에 따르는 것이었으니 그 다음단계인 심리적 강화에 의한 복종 단계는 내가 좋아하는 권위자 혹은 그냥 권위자로부터 칭찬이나 보상을 받았던 것을 기억해 '내가 이렇게 한다면 칭찬을 받을 수 있겠구나' 의미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