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정서] 절대적 도덕성, 도덕적 실재론 | ||
---|---|---|---|
작성자 | riverwisdom429 | 작성일 | 2021-06-16 22:34:08 |
조회수 | 944회 | 댓글수 | 2 |
절대적 도덕성 / 도덕적 실재론
이 두 가지는 다른 의미인가요?
절대적인 도덕성을 갖고 있는 것을
도덕적 실재론이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확하게 잘 모르겠습니다
규칙은 신, 경찰, 부모와 같은 강력한 권위적인 인물들에 의해 정해진 것이어서
이 규칙들은 수정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절대적 도덕성'에 해당하는 건지, '도덕적 실재론'에 해당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이 두 가지는 다른 의미인가요?
절대적인 도덕성을 갖고 있는 것을
도덕적 실재론이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확하게 잘 모르겠습니다
규칙은 신, 경찰, 부모와 같은 강력한 권위적인 인물들에 의해 정해진 것이어서
이 규칙들은 수정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절대적 도덕성'에 해당하는 건지, '도덕적 실재론'에 해당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제 생각에는 절대적 도덕성이 도덕적 실재론 안에 있는 특성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ㅠㅠ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유아기에는 도덕을 임의적이고 상대적인 가치로 생각하기 보다는 객관적으로 부과된 사실로 이해하기 때문에 절대적 도덕성(타율적)도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피아제는 유아기 도덕성의 특징을 타율적인(절대적인) 것으로 규정하면서 이로 인해 성인의 권위에 무조건 복종하거나 내재적 정의와 같은 사고를 한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절대적 도덕성이 나타나는 이유를 도덕 실재론 때문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