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59개 내용 성취기준 | ||
---|---|---|---|
작성자 | flqld4295 | 작성일 | 2021-06-11 14:54:59 |
조회수 | 600회 | 댓글수 | 2 |
임미선 교수님은 59개를 성취기준으로 삼을 시 교사가 유아들이 달성해야하는 기준이 되어 교사주도적 학습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셨어요
반면 박성희 교수님은 유아들의 놀이에는 59개 내용외에 또 다른 배움이 있어서 59개 내용을 한정 짓지 말아야한다고 하셨는데~
59개의 내용을 성취기준으로 삼으면 안되는 이유를 적으라면 어떤 것을 적어야하나요?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선생님~
성취기준으로 삼으면 안되는 이유가 문제로 나오기 위해서는 해당 내용이 해설서에 제시되어 있어야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해설서 내용을 기반해서 찾아보니 두 교수님의 말씀 중 어느 하나만을 콕 집어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이 아래는 해설서에 제시된 '~ 이유'와 관련된 내용이니 참고하여 판단하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구성의 중점 - '라. 3~5세 유아가 경험해야 할 내용으로 구성한다'의 해설 내용(해설서 p.37)
- 개정 누리과정은 59개 내용을 유아가 경험해야 할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교사는 이를 가르쳐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유아가 놀이하며 자연스럽게 배우는 경험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해설서 p.59)
59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위의 페이지 외에도 해설서 p.46, p.54와 놀이이해자료 p.18 등
여러 번에 걸쳐 설명해주는 내용이 나오니 이 부분들도 참고하여 봐주시면 좋을 듯 해요~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성취기준= 가르쳐야하는 내용이 되지만 59개 내용은 유아들이 일상과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통합적으로 경헙하는 내용으로 보아야 겠지요.
이런 점에서 문제의 맥락이 성취기준으로 삼을 경우의 문제점을 묻는 것이라면, 교사가 반드시 가르쳐야하는 내용으로 생각하여 교사중심의 획일화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문제점으로 제시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즉 문제의 포인트가 성취기준으로 삼는것의 문제점에 있는지 아니면 59개 내용의 의미를 묻는 것인지에 따라 답은 달라질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