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효능감 기대 | ||
---|---|---|---|
작성자 | sarah0394 | 작성일 | 2021-04-07 18:28:53 |
조회수 | 705회 | 댓글수 | 1 |
효능감 기대가
‘자신이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데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이 맞을까요?
‘교사 개인이 학생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믿음’이 맞을까요?
아니면 둘 다 같은 말일까요? ...
‘자신이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데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이 맞을까요?
‘교사 개인이 학생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믿음’이 맞을까요?
아니면 둘 다 같은 말일까요? ...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선생님~
개론 교재 p.749 나온대로 암기하시면 좋을 듯 해요~
참고로 효능감에서도
반두라가 제시한 자아 효능감은 '효능감 기대 / 결과 기대'로 나뉘고
깁슨&덴보가 자아 효능감을 교사(교수) 차원에서 바라보고 '일반적 교수 효능감 / 개인적 교수 효능감'으로 나눈 것이에요!
따라서 '효능감 기대와 개인적 교수 효능감', '결과 기대와 일반 교수 효능감'이 비슷한 내용처럼 보이더라도, 용어가 사용되는 범위가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좋아요!
'효능감 기대 / 결과 기대'는 자아 효능감의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것이고(교사 외에도 유아도 해당될 수 있음)
'개인적 교수 효능감 / 일반적 교수 효능감'은 교사의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것이에요!
또 참고로...
대부분의 서적에서도 '교사 효능감 = 교수 효능감'으로 보기도 해요
다만 이 둘을 구분하는 서적에서는 다음과 같이 차이를 두고 구분해요~
교사 효능감은 교사의 전반적인 업무에 대한 효능감(행정업무 포함)
교수 효능감은 교수(수업) 상황에 한정된 더 좁은 범위에서 효능감 이에요!
왜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드리냐면...
2019 추시? 2020 기출?(정확히 기억이 안 나네요ㅠㅠ)에서 "과학적 교수 효능감"을 쓰는게 답이었던 문제가 있었는데, 이 당시 교사 효능감, 교수 효능감으로 썼던 분들은 틀렸다고 했던 것으로 알고 있어요~
따라서 구체적인 용어로 암기하시라고 권유드리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