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자아개념 유형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4-13 15:49:06 |
조회수 | 651회 | 댓글수 | 1 |
2. 범주적자아는 자아를 ‘범주화 유목화’에 초점을 두면 범주적자아로 생각해도 될까요? 유형별로 겹치는 느낌이 들어서요ㅠ
범주적 자아는 난 착해와 같이 심리적, 능력으로 설명하는 것이 포함되어있는데 자아존중감같기도 합니다..
더불어 자아인식과 범주적자아도 자신과타인을 구분한다는점에서 같은데.. 범주적자아는 ‘유목’에 초점드면 되나요?
댓글목록
고득점합격자들님의 댓글
alstjs1211 작성일
선생님~!!
저는 이렇게 생각해봤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ㅎㅎ
혹시 다른 선생님들이 읽으시다가 오개념이 있으면 수정 부탁드립니다 :)
공적자아는 사적자아와 비교해서 이해하는게 덜 헷갈릴 거 같아요..!!
사적자아는 다른 사람들이 모르는, 다른 사람은 알 수 없는 자아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모른다고 생각될 때, 나만이 가진 생각)
공적자아는 다른 사람들도 알 수 있고 다른 사람과 구분할 수 있는 자아입니다!
범주적 자아는 성장하면서 유아가 다른 사람들과 차이가 난다는 걸 알게되는 걸로 이해했는데요,
여기서 유아는 '저 친구는 키가 큰데 나는 작네'라든지, '난 남자인데 내 단짝친구는 여자야' 등으로 다른사람과 자신의 차이를 구분하게 되고 -> 이를 신체크기, 성별, 연령 등으로 유목화해서 자아를 지각하게 된다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래서 범주적 자아는 '유목화'에 초점을 두어 자신을 여러 범주로 구분하고 유목화해서 자아을 지각하는 '개념적 틀' 이라고 보면 되지 않을까요~?
'난 착해'와 같이 자신을 심리적, 능력으로 설명하는 것은 ->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성격을 유목화하여 자아를 지각했다고 보면 될 거 같아요!
자아 존중감의 경우에는 자신의 존재, 능력, 가치 등에 대해 판단 및 평가를 내리는 것인데요, 유아가 자기 자신을 착하다고 판단과 평가를 내렸다고 가정한다면 유아는 자신에 대한 자아 존중감이 높다고 할 수 있겠네요!
더불어 이 시기는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유아가 스스로 자신의 가치에 내리는 평가가 긍정적인 것이 당연히 중요하다~ 이런 맥락입니다!)
자아인식 (자기인식)은 자신과 타인이 별개의 존재로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므로,
범주적 자아를 위해서는 자아인식이 기반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