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로젠블랏의 읽기유형 | ||
---|---|---|---|
작성자 | l901023 | 작성일 | 2021-04-13 17:54:01 |
조회수 | 1,117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의사소통 교재 543페이지에서
로젠블랏의 읽기 유형과 질문 유형에 대한 질문입니다.
- 심미적 읽기: 주로 정의적인 면, 사적인 면, 실제 삶 속에 나타나는 경험과 관련된다.
정보 추출적 읽기: 의미의 인지적인 면이나 일반적인 면과 관련된다.
- 심미적 질문: 책의 내용을 기초로 추론하기, 가정해보기, 감정, 느낌 등에 대해
인지적 반응을 유도해내는데 목적이 있다.
위 부분에서 두 개념은 읽기와 질문 유형이라는 다른 범주에 속해있지만,
정보추출적 읽기에서도 인지적,
심미적 질문에서도 인지적이라는 단어가 나오니 다소 혼란이 있습니다.ㅠㅠ
또한 감정과 느낌은 정의적 반응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두 부분에서의 '인지적'이라는 용어를 구분할 수 있게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책의 내용을 기초로 추론, 가정 등을 하기 때문에 인지적이라는 용어가 쓰인 것일까요?
댓글목록
생각늘보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안녕하세요. 박성희입니다.
인지적이라는 용어를 정보에 대한 인식과 지각으로만 제한해서 생각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로 판단됩니다.
심미적 질문은 책에 대한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인지(인식하고 지각)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입니다.
정보추출적 질문은 책에 담긴 의미를 인지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입니다.
이와 같의 개념을 정리하면 혼돈이 없을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