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언어의 기능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3-25 14:50:53 |
조회수 | 781회 | 댓글수 | 1 |
할리데이 도구적 기능 예시로’물 한컵 주세요’가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가됩니다. 그런데
스타브의 통제 예시에 ‘과자 좀 주세요’ 가 있는데 이것도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함으로 사회적 욕구의 주장이 아닐까요? 타인에게 요청했다는 맥락으로 통제라 한다면...
할리데이 도구적기능의 예시(물한컵주세요)도 통제적에 속할수 있어보여요...
어떻게 구분하나요?
스타브의 통제 예시에 ‘과자 좀 주세요’ 가 있는데 이것도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함으로 사회적 욕구의 주장이 아닐까요? 타인에게 요청했다는 맥락으로 통제라 한다면...
할리데이 도구적기능의 예시(물한컵주세요)도 통제적에 속할수 있어보여요...
어떻게 구분하나요?
댓글목록
생각늘보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강의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언어의 기능은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문장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가 진행되는 전체 문장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기출문제를 풀어보면 통제는 명확하게 다른 사람의 행동을 통제하는 내용으로 출제되므로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