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이론] 서튼 스미스 | ||
---|---|---|---|
작성자 | jyj2557 | 작성일 | 2021-03-10 18:43:42 |
조회수 | 1,569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현대 놀이이론 요약에서
인지 발달 이론 - 서튼 스미스가 있는데
'놀이는 적응적 상승작용 : 다양한 대안을 고려하고 유동성을 관리' 라고 되어있는데 이해가 잘 안가네요ㅠ
미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고려하고, 문제의 유동성을 알고 이에 대처하는 문제 해결능력이 생긴다는 말인가요...?
현대 놀이이론 요약에서
인지 발달 이론 - 서튼 스미스가 있는데
'놀이는 적응적 상승작용 : 다양한 대안을 고려하고 유동성을 관리' 라고 되어있는데 이해가 잘 안가네요ㅠ
미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고려하고, 문제의 유동성을 알고 이에 대처하는 문제 해결능력이 생긴다는 말인가요...?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선생님~
제가 부족해서 "문제의 유동성"이라고 적어주신 부분을 이해하지 못하겠네요ㅠㅠ일단 제가 이해한 내용을 남길게요!
서튼 스미스는 후기에 적응 잠재성을 적응 가변성이라는 개념으로 대치시키면서, 자신의 기존 이론을 보강했다고 보시면 돼요!
적응 가변성이란, '예측 불가능하며 불확실한 미래사회를 살아갈 유아에게 필요한 적응 잠재성은 고정된 적응이 아니라, 융통적·유동적인 것'으로 보는 개념이에요!
즉, 유아는 놀이 속에서 다양한 대안을 고려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적응 가변성을 기르게 되고, 이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힘이 된다는 것이에요~
따라서 저는 "놀이는 적응적 상승작용 : 유아는 놀이 속에서 다양한 대안을 고려하면서, 적응적 가변성을 기르며(유동적인 적응) 이는 상승작용을 일으킨다."로 해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