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구성놀이(p.472) | ||
---|---|---|---|
작성자 | by9831 | 작성일 | 2021-03-01 10:22:45 |
조회수 | 1,487회 | 댓글수 | 2 |
피아제가 구성 놀이를 하나의 독립된 단계로 인정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질문드려요!
같은 내용을 질문한 선생님이 계신데 답변이 명확하게 달려있지 않아서 질문 올립니당ㅠㅠ
우선 교재에는 (1) 구성 놀이의 특징 ② 피아제는 구성 놀이를 하나의 독립된 단계로 인정하지 않고 상징 놀이와 규칙있는 게임의 중간 또는 놀이와 지적 활동의 중간, 놀이와 모방의 중간 위치에 있다고 하였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런데 강의에서 박성희 교수님께서 이 부분을 설명하실 때 "왜냐하면 구성 놀이가 기능놀이 같기도 하기 때문이죠." 라고 하셔서 상징 놀이와 규칙있는 게임의 중간이 아니라 기능 놀이와 상징 놀이의 중간에 있다고 설명하신 것처럼 이해하게 되더라구요...
그리고 스밀란스키나 프로스트의 놀이 발달 단계에 비춰볼 때도
-스밀란스키: 기능놀이-구성놀이-극화놀이-규칙있는게임
-프로스트: 기능놀이-구성놀이-상징놀이-사회극놀이-규칙있는게임
구성놀이가 기능놀이와 상징놀이 중간에 위치해 있어서 어느 게 맞는 설명인지 더 혼란스럽네용ㅠㅠ
구성놀이의 위치가 상징과 규칙 혹은 기능과 상징 둘 중 어느 사이에 있다고 보는 것이 맞는지,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댓글목록
tntjrtntjrgkqrur님의 댓글
qaws010 작성일
안녕하세요 선생님!
스밀란스키와 프로스트는 구성놀이가 기능과 상징 중간에 있다고 본것이 맞구요!
피아제는 구성놀이를 별개의 놀이유형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디 사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았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구성놀이를 인정하고 어디 사이에 위치해 있다고 말한 학자들만 정확히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영입니다님의 댓글
by9831
선생님~ 답변 감사해요ㅠㅠ 안그래도 피아제가 구성놀이를 보는 관점이 다른 학자들과는 조금 다른가라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이렇게 알려주시니 마음이 편해지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