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피아제 보존개념유형 | ||
---|---|---|---|
작성자 | dduni1209 | 작성일 | 2021-02-21 21:27:27 |
조회수 | 822회 | 댓글수 | 1 |
찰흙의 유형이 달라져도 찰흙의 양이 같다는 것
과자를 줄지어 놓은것과 띄엄띄엄 놓은 것을 본래의 상황으로 되돌리면 같다는 것이
보상성에 해당하는 것이 맞나요?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찰흙의 유형'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서...'찰흙의 모양을 말씀하신 것 맞나요...?
맞다는 전제 하에 말씀드릴게요!
먼저 "찰흙의 모양이 달라져도 찰흙의 양이 같다는 것"은
왜 같다고 생각하는지 판단 근거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보존 과제 조작의 특정 유형이 아니라 보존개념 그 자체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판단근거가 포함된 예시 : "찰흙의 모양이 달라져도 (~~~ 하기 때문에) 찰흙의 양이 같다는 것")
또한 "과자를 줄지어 놓은 것과 띄엄띄엄 놓은 것을 본래의 상황으로 되돌리면 같다는 것"은 반환성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요!
cf. 보존 과제에서 조작 유형(=보존을 판단할 때 사용하는 조작 유형=보존개념의 원리)의 각 초점은 다음과 같아요!
반환성 : *가했던 조작을 원래대로 되돌리면* 동일하다는 것을 아는 것
보상성(=상보성) : 조작을 통해 변화된 대상의 *두 가지 특성 간의 관계를 비교*하는 것
동일성 : 양에 변화가 있었는지 판단할 때, *원래 상태에 양을 추가하거나 빼지도 않았으니* 늘리고 줄이든 어떤 조작을 하더라도 양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아는 것
보상성을 쉽게 풀이해보면
"한 측면의 변화는 다른 한 측면에서 보상받는다"라 생각하시면 될 듯 해요...!
ex_길이와 높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 → 조작 전 길이는 길고 높이는 작음, 조작 후 길이는 줄어든 대신 높이가 늘어남. 즉, 다른 측면에서 보상받았으니 동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