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 심리] 피아제 이론의 한계 | ||
---|---|---|---|
작성자 | hyeji9907 | 작성일 | 2021-02-09 23:39:27 |
조회수 | 781회 | 댓글수 | 0 |
교재 348페이지 (1) 단계 개념에 2번을 보면 "그러나 인지 발달이 단계적으로 진행된다는 피아제의 주장에 대하여 다른 연구자들은 지적 능력에서의 변화가 점증적으로 일어나며 아동들이 특정한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 수행에서 일관성이 없음을 주장했다. 예를 들어, 보존 개념의 경우 양의 보존 개념이 무게의 보존 개념보다 더 일찍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지적들은 피아제가 가정했던 것보다 인지적 성숙이 비일관적임을 의미한다."라고 쓰여 있는데요.
그런데 교재 344페이지 보존개념에 대한 설명 2번을 보면 "그러나 동일한 가역성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과제의 유형에 따라 가역 조작의 획득 시기는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길이, 크기, 양, 수의 보존 개념은 6~7세에, 무게의 보존 개념은 8~9세에, 넓이와 부피의 보존 개념은 11~12세경에 획득된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피아제도 주장한 내용인데, 왜 한계점으로 비판 받는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교재 344페이지 보존개념에 대한 설명 2번을 보면 "그러나 동일한 가역성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과제의 유형에 따라 가역 조작의 획득 시기는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길이, 크기, 양, 수의 보존 개념은 6~7세에, 무게의 보존 개념은 8~9세에, 넓이와 부피의 보존 개념은 11~12세경에 획득된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피아제도 주장한 내용인데, 왜 한계점으로 비판 받는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