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발달심리] 대리강화 무시행학습전형
작성자 hyojung1120 작성일 2021-02-11 20:33:13
조회수 1,092회 댓글수 1
첨부파일 첨부파일 B51550D7-9C51-443B-8996-D.jpeg (1.5M) (5회 다운로드)
도란도란 검색해보고 대리강화와 무시행은 사용되는 차원/범주가 다르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묻는 맥락에 따라서 다른데 ‘친구들에게 양보하는 행동을 한 유아를 다른 유아들 앞에서 칭찬해준다.’ 예시는 무시행이 아닌 대리강화로 답이 처리되어 있어서 궁금했어요.
예시에는 ‘그래서 유아가 학습을 했는지’까지는 말이 안나와있고 교사가 칭찬해준다 라고 되어있으니 교사가 유아를 강화해주는 것이므로 대리강화,
만약 ‘~칭찬하려 유아가 양보하는 행동을 학습하였다.’라 한다면 유아가 행동학습했단 의미로 무시행학습전형 맞을까용??
  • 목록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선생님께서 질문해주신 것은 기출변형..문제를 새롭게 만드는 것이라 그에 대한 정답이 무엇이다 라고 명확히 확답드리기는 어렵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무시행 학습 전형이라고 말할 수 있는 더 명확한 요소가 있으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

저는 무시행 학습 전형이 되기 위해서는 '행동을 학습한 유아의 시점에서 관찰이 전제가 되었다는 점'과 '시행이 없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선생님 예시에서는 시행이 없다는 점이 강조된 것 같지가 않아요!

따라서 예시를 들어보면
"친구들에게 양보하는 행동을 한 유아를 칭찬해주는 교사의 모습을 관찰하여, 직접 수행해보지 않고도 양보하는 행동을 학습하였다."
아니면 '칭찬=강화'에 대한 내용을 삭제하여 보다 명확하게 무시행 학습 전형이 되도록
"친구들끼리 양보하는 행동을 관찰하여, 직접 수행하지 않고도 양보하는 행동을 학습하였다."
가 무시행 학습 전형에 보다 가까운 사례이지 않을까 생각해요!

다만 방금 위 사례는 제가 임의로 만들어 본 것이기 때문에...정답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주셨으면 좋겠네요ㅠㅠ언제나 기출 변형은 조심스러워 지네요...참고로만 이해해주세요!

혹시 더 좋은 사례가 생각나신 분이 있다면 써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78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462 [놀이] 프로이드와 왈더 댓글(1) gpfud1056 21-02-16 1347
4461 [놀이] 댓글(1) hyojung1120 21-02-16 764
4460 [발달심리] 기출 댓글(1) hyojung1120 21-02-16 837
4459 [오타수정] 발달심리 확인학습 댓글(3) chang980210 21-02-16 835
4458 실존주의 powerup96 21-02-16 726
4457 [놀이] 비고츠키 댓글(2) hyeji9907 21-02-15 909
4456 [놀이] 스밀란스키의 사회극 놀이 댓글(2) hyeji9907 21-02-14 1106
4455 [놀이이론과실제] 구성놀이 댓글(2) wlstlf0639 21-02-14 856
4454 사회적중재(비고츠키) 댓글(1) hysm1324 21-02-14 896
4453 [놀이] 각본이론 댓글(4) dkmickey 21-02-12 1310
4452 오타관련 댓글(1) GRIT 21-02-12 1301
열람중 [발달심리] 대리강화 무시행학습전형 댓글(1) 첨부파일 hyojung1120 21-02-11 1094
4450 [서양사상]코메니우스, 루소 댓글(1) 111bin 21-02-11 1453
4449 피아제 인지적 불평형의 순서 댓글(3) moonhong21 21-02-10 1434
4448 [발달 심리] 피아제 이론의 한계 hyeji9907 21-02-09 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