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심리]반두라 | ||
---|---|---|---|
작성자 | hyeji9907 | 작성일 | 2021-02-08 16:48:58 |
조회수 | 928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
학부에서 공부하던 책을 보니, 반두라의 이론이 초기에는 사회학습이론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인지이론으로 바뀌었다고 하면서 두 개를 구별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기출문제 문제 자체에도 "사회학습이론"이라고 나와 있는데, 이는 유아교육에서 다루는 반두라의 이론은 인지적 요소를 덜 반영했기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교육심리학 교재로 보이네요ㅠㅠ..ㅋㅋㅋ
저도 학부 때 들었던 기억을 더듬어보면...
기존의 행동주의 이론 : 행동이 학습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보상, 처벌 등의 강화를 강조
초기의 사회학습 이론 : 행동이 학습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강화는 타인의 존재, 즉 사회적 측면에서도 나타남을 강조
후기의 사회인지 이론 : 행동이 학습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측면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 등의 신념적인 측면(인지적 측면)도 영향을 끼침을 강조
로 알고 있어요!
따라서 엄밀히 구분하자면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인지이론은 다른 명칭으로 볼 수 있으나
교육학 분야(중등임용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학개론, 교육심리학, 교육철학 및 교육사, ... 등)가 아닌
유아교육에서는 사회학습이론으로만 사용되더라고요!
제가 생각할 때는 그 이유가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인지적 요소를 강조하기보다는
사회적 요소인 관찰학습 자체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요!
덧붙여 말하자면 사회관계 영역에서 공격성에 관해 배울 때
Dodge의 사회인지모형(사회적 인지처리 과정을 강조한 이론)이 나와요!
그래서 저는 유아교육에 한정해서만 '반두라=사회학습이론', '닷지=사회인지이론'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이건 제 개인의 의견이니 참고로만 생각해주시면 좋을 듯 해요~
유교미혜지님의 댓글
hyeji9907
감사합니다. ^^ 이제서야 궁금증이 풀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