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화용론적 지시과 사회언어학적 지식 | ||
---|---|---|---|
작성자 | am1000 | 작성일 | 2023-08-10 14:47:31 |
조회수 | 362회 | 댓글수 | 1 |
첨부파일 | ![]() ![]() |
안녕하세요 선생님 !
영역별문풀반 의사소통의 실전형 12번(3)번 문제를 풀다가 문풀반 질문방은 이미 마감되어 급하게 여기에 질문을 올립니다.
도란도란에 예전에 올라온 글도 확인해 보았는데, 도저히 이해가 안 됩니다ㅠㅠ..
- 화용론적 지식은 화자의 의도, 언어적 형태, 효과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언제, 어떤, 언어적 형태를 사용하여 말을 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을지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 사회 언어학적 지식은 상대방의 사회적 지위, 문화, 성과 같은 사회적인 변인에 따라 언어가 어떻게 다르게 사용되는지 아는 것입니다!
질문: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 존댓말과 반말을 쓰는 게 왜 화용론적 지식인가요?
저는 상대방의 지위에 따라 반말과 존댓말을 쓰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언어학적 지식이라고 생각했는데
해설 강의에서 교수님께서 존댓말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화용론적 지식도 답이 될 수 있다고 하셔서요 ㅠㅠ..
화용론적 지식과 사회언어학적 지식에 대한 예시를 하나씩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ㅜㅠ..!!!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이건 강사님들마다 의견이 조금씩 다른 부분입니다ㅠㅠ 박교수님은 작년 설명에서는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 언어를 달리사용하므로 사회언어학적 지식이라고 알려주셧는데 올해는 좀 다르게 알려주셧더라구요,,?! 박쌤이 강의에서도 말씀하셨듯이 이 이론을 제시한 사람은 외국인이라 존댓말과 관련해서는 생각하지 못한 채 이론을 구성하였기에,, 존댓말과 관련된 내용은 출제하기가 다소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1. 화용: 생일 축하할 때 사용하는 말을 아는 것
2. 사회언어: 동생에게 게임 규칙을 설명할 때 쉽게 설명하는 것, 외국인의 입장에서 한국인은 존댓말을 사용한다는 것, 영어는 한국말과 다르게 결론부터 말하는것(주어동사형태로 이루어져 잇으므로)
이런식으로 전 정리해놧어요! 분명 시험에서는 명확하게 구분되서 나올거라 추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