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이론] 피아제 도식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2-03 15:56:13 |
조회수 | 1,414회 | 댓글수 | 2 |
그리고 인지구조는 행동적/상징적/조작적 도식으로 나뉜다고 되어있더라구요.
우리 교재의 도식 정의는 도식이 감각운동기에 대부분 행동패턴이 형성되어서 ‘조직화된 행동패턴’으로 정의되어져 있는 것인가요?? 만약 도식이 ‘행동’패턴으로만 정의되어 있는 것이라면 피아제 내용을 이해하는데 조금 힘든 부분이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교재 334-335쪽)
도식:조직화된 행동패턴, 신체적인 문제해결능력
조직화: 현존하는 ‘도식’을 새롭고 복잡한 지적 구조로 조합
동화: 새로운 정보에 기존의 ‘도식’을 적용
조절: 새로운 정보가 기존 ‘도식’과 인지적갈등 일으켜 기존’도식’을 변형, 생성
도식=조직화된 행동패턴 이라면
조직화, 동화, 조절에서 나오는 ‘도식’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정의되는 ‘도식’은 같은 의미인가요?
그렇다면
조직화는 조직화된‘행동패턴’을 ‘지적’구조로 조합,
동화,조절은 새로운 정보에 조직화된’행동패턴’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피아제 용어가 도식,,인지구조,, 조작,,, 등등 개념들이 헷갈리네요...ㅠㅠ ㅎㅎ)
댓글목록
김정현님의 댓글
jhyeon1376 작성일
선생님, 저도 강의 듣고 이 부분에 대해서 이해가 잘 되지 않아 댓글 남겨요..ㅠㅠ
각론 책을 찾아보니 '도식'이라는 것이 일종의 '인지구조'로서
감각운동기에는 행동도식, 전조작기에는 상징도식, 구체적 조작기에는 조작도식으로 점점 발달한다고 설명이 되어있는 것을 보았어요.
그런데 교재랑 강의에는 도식 = 조직화된 행동패턴, 신체적인 문제해결능력. 즉, '행동도식'으로만 설명되어 있는 것 같아서 혼란스럽네요..
저희 교재랑 강의 내용대로라면,
감각운동기에는 도식(이 경우라면 행동도식을 이야기하는 것이겠죠?), 전조작기에는 도식+상징적 사고,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엔 조작. 이렇게 되는 것인가요..?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먼저 도식은 교재처럼 "조직화된 행동 패턴"으로 정의되기도 하지만,
다른 출판서적에서 나온 것처럼 사고의 개념까지 통합하는 '특정 ~에 대한 인지적 구조의 틀', 혹은 '세상에 대한 내적 표상'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된다고 알고 있어요!
이를 볼 때 저희 교재에 있는 도식의 정의는 감각운동기에 속한 행동도식만을 의미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요!
───이 아래에 쓰는 내용부터는 제 주관적인 견해이므로 참고로만 읽어주세요ㅠㅠ───
도식은 인지의 구조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용어(인지구조)로 “계속하여 변화하는 과정”이에요!
ex_날아다니는 것은 무조건 새인줄만 알았는데 인지적 갈등을 경험함으로써 비행기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됨(인지구조의 변화), 이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또 다시 변화됨, ...
어린 학습자는 초기에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상호작용 과정에서) 반복되는 행동과 경험을 함으로써 도식이 형성되고, 도식은 새로운 경험을 통해 계속하여 변화하며 복잡한 도식이 형성됨
즉, 어릴 적(감각운동기)에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반복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학습자는 도식을 형성하고(처음 행동도식=조직화된 행동 패턴), 이 도식은 새로운 경험을 통해 계속하여 변화하며 점차 복잡한 도식으로 발전됨(상징도식, 조작도식)
따라서 저는 교재 p335에 적힌 도식의 정의는 행동도식에만 한정되어 정의를 내린 것이고(그렇다고 이 정의가 틀린 것은 아닌거죠!), p334에 적힌 조직화, 동화, 조절의 정의 속에 나오는 도식은 사고의 개념까지 포괄하는 도식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혹시 다른 의견이 있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세요!!
+ 추가
다른 질문이긴 하지만
http://www.immisun.com/bbs/board.php?bo_table=community&wr_id=5761&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C%A1%B0%EC%A7%81%ED%99%94%EB%90%9C&sop=and
에 올라온 임미선 교수님 댓글을 보면 행동도식에 해당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