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아동복지] 통합교육 | ||
---|---|---|---|
작성자 | ebbi9 | 작성일 | 2021-01-28 20:39:35 |
조회수 | 649회 | 댓글수 | 1 |
[유아교육개론 247p 기출탐구]
1번에 발달지체 유아 부모와의 상호 교류는 특수교사가 전담하도록 한다.
이 문제도 맞는 거 같아 물어봐요!
특수교사의 지원을 받고 있고 특수 교사가 장애아동을 전담하고 있으니 부모와의 상호교류도 특수교사가 맡는 거 아닌가요...?
교재를 읽어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안나와 있는 것 같아 물어봅니다...!
댓글목록
지예님의 댓글
jiye110869 작성일
문제에 보면 '윤 교사의 학급에 통합되어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담임인 윤 교사 학급의 유아이기 때문에 담임 교사로써 부모와 교류를 해야 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다음의 몇가지로 설명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첫째, 장애 유아 부모와의 교류를 특수교사가 전담하도록 하는 것은 담임교사가 장애 유아 담당과 통합 교육은 본인의 업무가 아니라고 인식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되면 시간적 통합만 하는 것에 그치지 않기 때문에 통합, 융합의 의미의 완전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드러낸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놀이실행자료에서 '통합학급에서의 놀이 지원'을 읽어보시면 일반 교사와 특수 교사가 나누어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 '협력'하여 업무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일반 교사라고 해서 개별화교육 계획에 아예 배제되는 것이 아니고, 특수 교사라고 해서 비장애 유아들을 관찰하지 않고 교육계획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외에 전체적인 내용을 근거로 했을 때 장애 유아 부모와 교류하는 것을 특수교사가 전담하는 것은 '협력'교수라고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셋째, 교재 p.246에서 (ㅂ)을 보면 '가정과 연계된 통합 프로그램은 장애 아동의 바람직한 발달을 돕는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부모(가정)과 교류하고 연계되었을 때 진정으로 유아를 위한 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담임교사와 부모의 교류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제 설명이 미숙해서 도움이 됐을지는 모르겠지만 교재의 통합교육 내용과 놀이실행자료에서 통합교육 관련 내용을 찬찬히 살펴본다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