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아동복지] 카두신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1-20 21:05:19 |
조회수 | 769회 | 댓글수 | 3 |
지지적서비스-미혼모, 한부모위한서비스
보충적서비스-다문화가정아동지원서비스 라 나와있습니다.
미혼모, 한부모는 도란도란 답변을 보고, 가족의 여러 유형중 하나로 생각하여 지지적이 맞다고 이해했는데
이에 따르면 다문화도 지지적 아닌가요.?
반대로, 다문화가정에 언어교육와 같은 부모역할에 결함이있어서 보충적이라면, 한부모가정도 또 나름의 여러 문제가 있어서 부모의 역할수행에 문제가 있을 수 있잖아요...
다문화는 왜 보충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ㅜㅜ
댓글목록
보름달님의 댓글
moonhong21 작성일
미혼모, 한부모 가정에 대한 지원은 부모의 '역량'에 대한 지원인 것이고
다문화 가정에 대한 지원은 '언어'에 대한 지원이입니다.
즉, 미혼모, 한부모 가정에 대한 지원이 보충적 지원이 되려면 '아빠의 역할'이 지원이 되어야 되겠지요!
그런데 아빠의 역할을 지원해주는 것이 아니라, 미혼모가 남편 없이도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엄마로서의 자질과 역할을 향상하는 지원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적 서비스라고 이해했습니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지원은 부모가 한글어 능력이 부족, 미숙한 것임으로 부족한 능력을 한국어 교육 등으로 보충해주기 때문에 보충적 서비스인 것이지요!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윗분께서 서비스 측면에서 잘 말씀해 주신 것 같아요!
구체적으로 서술된 심화 내용이 아니라
'미혼부모 한부모에 대한 지원', '다문화 가정 아동 지원'과 같이 개괄적으로 단순히 제시되었다면 교재처럼 각각 지지적 서비스, 보충적 서비스로 구분하시는 게 맞아요!
다만 상황 맥락이 반영된 심화 문제에서 구분할 때는
무조건 '미혼부모 및 한부모는 지지적' / '다문화는 보충적'으로 보시는 것이 아니라,
상황 맥락에 기반하여 개념에 의한 구분이 필요해요.
먼저 개념 정의를 하자면
지지적 서비스는 가족 및 부모-자녀 관계의 구조·기능·역할 등이 손상되지는 않았지만,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즉, 지지적 서비스는 가정에서 수행은 가능하지만, 보다 원만한 수행이나 관계 회복을 위해 가정의 기능을 강화해주는 서비스
보충적 서비스는 가족 및 부모-자녀 관계의 구조·기능·역할 등이 손상되어, 부족한 기능·역할 등에 대해 지원해주는 경우
즉, 보충적 서비스는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가정 및 부모의 기능을 일부 보충해주는 서비스에요!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례들을 참고하여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ex1-1. '미혼부모 한부모에 대한 지원'은 지지적 서비스
ex1-2.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지원'은 보충적 서비스
ex2-1. '어머니 혼자 아이를 양육하는 가정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지원해주는 것'은 아버지가 없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기존 어머니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지지적 서비스
ex2-2. '어머니 혼자 아이를 양육하는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을 대신해주는 것'은 기존의 가정에서 할 수 없었던 기능을 보충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보충적 서비스
ex3-1. '다문화 가정의 부모가 한국어 능력이 미숙해서 자녀에게 한국어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을 때 그 아동에 대한 한글 지원'은 기존의 가정에서 할 수 없었던 기능을 보충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보충적 서비스
ex3-2. '다문화 가정의 부모의 한국어 능력을 보다 강화해주기 위해 그 부모에 대한 한글 지원'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기존 부모의 한국어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지지적 서비스
기출에서는 심화된 문제가 주로 나오지는 않았지만 참고해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효동잉님의 댓글
hyojung1120 작성일어머 너무 감사합니다..ㅠㅠㅠㅠㅠㅠ 이해안됐었는데 확실히 이해가네요 감사해요 쌤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