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페스탈로치 기출, 영역별 | ||
---|---|---|---|
작성자 | hyojung1120 | 작성일 | 2021-01-20 23:07:40 |
조회수 | 909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
(첫번째사진)기출 ㄴ의 답은 직관이고,
(두번째사진)영역별문제 4의답을 설명하실때 직관을 통해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직관을 형성하기 위해 감각을 통해 가르친다고 하였습니다.
두 답이 상반되는 것 같아 어떤 점이 틀린건지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댓글목록
아크님의 댓글
acs625 작성일
"직관을 형성하기 위해 가르친 것이지, 직관을 통해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교수님께서 정확히 어떻게 말씀하셨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아 모르지만ㅠㅠ일단 답변 드릴게요!
직관의 원리란 "유아가 사물을 직접 관찰하면서 얻게 되는 인상을 스스로 내면화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즉, 언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하면서 유아가 스스로 깨닫게 하는 방법(p, 104)"
저는 이 문장을
페스탈로치는 유아가 감각을 통해 사물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하는 교육(실물교육)을 함으로써 사물을 깨닫도록 한 것이라고 이해했어요!
따라서 페스탈로치가 "(~~~)을/를 통해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의 문장과 같이, 무엇을 가르치려 한 것인지 목적어가 불분명한 빈칸 문제가 나올 때는 (~~~) 안에는 감각, 실물, 직관 모두 들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답을 단순화 시키지 말고, 문장 맥락과 나머지 힌트들을 참고하여 답안을 유추해야 한다는 생각했어요!
첫 번째 사진(2014년 기출)에서 ㉡의 답이 직관인 이유는
첫째, "실물교육이나 노작교육처럼 아동의 직접 경험 또는 직접 체험을 ( ㉡ )을/를 통해 가르쳐야 합니다."
의 문장에서 실물이라는 단어가 언급되었으므로, 실물은 답이 아니죠.
둘째, "외적 ( ㉡ )은/는 감각기관을 통해 외계의 인상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하며, 내적 ( ㉡ )은/는 자신의 마음의 눈으로 세계의 본질을 체험하는 것을 말한다."
의 이어지는 뒷 문장에서는 '내적/외적 직관'이라는 페스탈로치의 용어를 통해 답은 직관이야. 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에요!
두 번째 사진(영역별 문제)에서 ④의 답이 실물인 이유는
"언어로 가르칠 것이 아니라 ( ④ )으/로 가르쳐야 한다."
의 문장에서 '언어=추상적인 것'과 비교되는 용어여야 하기 때문에, ④는 '실물=구체적인 것'이 답이 되는 것이죠.
만약 교수님께서 "직관을 형성하기 위해 가르친 것이지, 직관을 통해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감각을 통해 가르친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부분이 있다면
──────────────────────────────────────────────────
직관의 원리란 "유아가 사물을 직접 관찰하면서 얻게 되는 인상을 스스로 내면화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즉, 언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하면서 유아가 스스로 깨닫게 하는 방법(p, 104)"
페스탈로치는 유아가 감각을 통해 사물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하는 교육(실물교육)을 함으로써 사물을 깨닫도록 함
──────────────────────────────────────────────────
부분에 대해서 설명해주시고자 위와 같은 말씀을 하신 것이 아닐까 감히 생각해 보네요...!
혹시 생각이 다르신 분이 계신다면 댓글을 달아주셔도 좋을 듯 해요!
효동잉님의 댓글
hyojung1120
아 제가 너무 글자그대로만 보고 해석하려 했던 것 같아요..! 쌤 말대로 답안을 유추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요!!! 이부분 넘 헷갈렸었는데ㅠ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