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정서 지능 이론 | ||
---|---|---|---|
작성자 | skdmsdpdms | 작성일 | 2020-08-28 18:44:13 |
조회수 | 875회 | 댓글수 | 1 |
첨부파일 | ![]() |
2017 기출 분석에 대한 질문입니다.
토돌이가 장난감을 혼자만 가지고 놀고 싶은 상황에서 토순이가 와서 화가 났다는 내용에 대해 교사와 유아들이 이야기를 나눕니다.
여기에서 토돌이의 화가 난 정서를 지각하고, “화가 나면 밀쳐도 될까?”, “그럼 토돌이가 토순이를 밀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교사의 질문을 정서를 통한 사고의 촉진(정서 통합)으로 볼 수 있을까요?
추가로
친구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못하게 하면 너희들은 기분이 어떻겠니?를 ‘감정이입’으로, 그런데 너희들이 가지고 놀고 싶어하는 장난감이 하나밖에 없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를 ‘대인관계기술’을 촉진하는 교사의 질문으로 볼 수 있나요?
내용 이해를 위해 기출 자료를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
토돌이가 장난감을 혼자만 가지고 놀고 싶은 상황에서 토순이가 와서 화가 났다는 내용에 대해 교사와 유아들이 이야기를 나눕니다.
여기에서 토돌이의 화가 난 정서를 지각하고, “화가 나면 밀쳐도 될까?”, “그럼 토돌이가 토순이를 밀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교사의 질문을 정서를 통한 사고의 촉진(정서 통합)으로 볼 수 있을까요?
추가로
친구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못하게 하면 너희들은 기분이 어떻겠니?를 ‘감정이입’으로, 그런데 너희들이 가지고 놀고 싶어하는 장난감이 하나밖에 없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를 ‘대인관계기술’을 촉진하는 교사의 질문으로 볼 수 있나요?
내용 이해를 위해 기출 자료를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정서통합으로도 볼 수 있지만 정서이해로도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ㅠㅠ
이 문제는 출제진들이 살로베이의 지식을 기반해서 출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말하기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ㅠㅠ
2.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