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쓰기발달, 읽기발달 | ||
---|---|---|---|
작성자 | happyjjin29 | 작성일 | 2020-07-28 20:56:29 |
조회수 | 1,835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너무 사소한 거라 ㅠ 전부다 밴드에 올렸는데 해결이 되지 않아 여기 올립니다.
1.
읽기발달 단계 중 -셜즈비꺼나, 쓰기 발달단계 램 껄 보면
음 큰 범위에 작게 나눠져 있잖아요 예를 들면,
그림책 읽기 발달 단계 셜즈비꺼 보면
문자 언어식 읽기 시도 단계 보면 글자를 보지 않고 읽기.이야기를 혼합하여 읽는 형태,
글자에 초점을 맞추면서 원본 이야기와 비슷하게 읽기, 원본대로 읽기, 이렇게 세개로 나눠져 있는데,
만약 시험에 그림책을 탈맥락화되지 않은 상태의 읽기를 하는 장면이 나오면, 문자언어식 읽기지도 단계라
적어야하나요? 아니면 글자를 보지 않고 읽기.이야기를 혼합하여 읽는 형태 라고 적어야 하나요?
쓰기의 발달 단계 램것도 마찬가지로 앞에 있는 큰것을 적는지 작은 굵은글씨를 적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2.
또, 만약 미술에 관한 이론적 접근 에서
정신분석 이론을 정신분석학적 이론이라고 적으면 틀리나요? 의미가 같은거니까 맞는거겠죠,,?
3.
그리고 2015년 기출문제 B형 5번 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펠드만의 미술 감상 단계에 대한 문제인데,
문제를 보면 '이 그림은 무엇으로 그렸을까?'이 부분을 저는 해석이라고 적어뒀던데,
해석하기 단계인 이유가 좀 헷갈려서요 ㅠㅠ 왜 무엇으로 그린지가 해석에 해당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당 ㅠㅠ
4. 데이몬의 공정성 발달 단계의 명칭을 크로그와 램의 나누기 발달 단계와 완전히 통일해서
외워도 될까요? ㅜㅜ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셜즈비의 발달 단계는 유특 18학년도 시험에 나왔던 내용이며, 아직 일반 유아에서는 출제되지 않았습니다ㅠㅠ
유특 문제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그림읽기, 이야기가 형성되는 읽기, 문자 언어식 읽기 시도 ~ 와 같은 범주는 읽기 행동 발달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그 아래에 있는 것들은 하위 범주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반유아에서 출제된 적이 없어서 하위범주보다 발달단계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정 불안하시다면 문자 언이식 읽기 시도 단계 중 원본대로 읽기 처럼 ~ 중 ~ 단계라고 쓰시실 바랍니다^^
2. 같습니다!
3. 게시판 검색을 이용하시면 교수님께서 친절하게 다신 댓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4. 유사한 개념이기 때문에 비교하시면서 암기하시는 것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