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시범운영 3개월 '다문화유치원'…교사가 없네 | ||
---|---|---|---|
작성자 | 아이미소연구소 | 작성일 | 2015-07-10 17:08:38 |
조회수 | 2,682회 | 댓글수 | 0 |
시범운영 3개월 '다문화유치원'…교사가 없네
서울·경기 등 5개 지역서 시범운영 중
다문화 가정 미취학 아동 느는데 지원 부족
[아시아경제/정현진 기자=] '다문화유치원'이 시범 운영에 들어간 지 3개월이 지나며 교사 부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맞춤교육 어려움 등 운영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이 늘어나고 있어 지역사회와 연계 등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4월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간 다문화유치원 6곳에 대한 운영상황을 분석 중이다. 다문화유치원은 올 초 교육부 발표에 따라 서울을 비롯, 경기, 충남, 전남, 경남교육청 등 5개 지역에서 6곳씩 시범 운영되고 있다.
다문화유치원은 누리과정(3∼5세 무상보육)에서 비(非)다문화 가정 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을 함께 가르치면서, 학업이 뒤처지는 다문화 아동에게 언어와 사회성 등의 기초내용을 별도로 지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시교육청이 점검한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이 늘어남에 따라 교사 부족 등 여러 문제점들이 나오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원금이 인건비를 쓸 수 있을만큼 나오지 않다보니 한정된 교사들이 프로그램을 추가해 운영한다"며 "그러다보니 업무의 과부하가 생기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서울 A유치원 원장은 "유치원이 있는 지역 특성상 한국어를 집에서 가르치기 어려운 외국인 가정의 아동들이 많아 국어 교육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지역 센터와 연계해 교사 지원을 받으려 시도 중이지만 인력이 많지 않아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다문화 아동의 부모 출신지역과 유치원 소재지에 따라 생활 수준 등에 차이가 있는 만큼 유치원별 컨설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B유치원 원장은 "지역특성상 경제적으로 어렵고 맞벌이하는 부모들이 많아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위축된 경우가 많다"며 "언어보다는 심리정서적으로 어루만져줄 강사가 지원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사 부족 문제 외에도 비(非)다문화아동과 함께 하는 수업 때문에 발생하는 어려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정책 대상은 분명하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이 적어 이들만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C유치원 원장은 "학습 프로그램을 전체 원아들이 다문화 수용성을 넓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와 시교육청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10일부터 다문화유치원을 방문해 컨설팅을 진행한다. 이후 8월에는 다문화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갖고 운영 방법 개선에 나설 예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