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광주시교육청, 유치원 부적절 운영 사례 적발 | ||
---|---|---|---|
작성자 | 아이미소연구소 | 작성일 | 2013-08-15 14:23:26 |
조회수 | 2,259회 | 댓글수 | 0 |
광주시교육청, 유치원 부적절 운영 사례 적발
(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광주시내 유치원들이 성범죄 경력을 확인하지 않고 시간제 교사를 채용하거나, 관할청 허가 없이 차입금을 편성하다 시교육청 감사에서 적발됐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5월부터 2개월간 관내 사립유치원 25곳의 운영실태에 대한 특정감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감사결과 유치원 교육과정, 학사, 운영관리, 예산, 회계, 교직원 임면, 복무, 시설 인가 분야에서 229건의 부당사례가 적발됐다.
적발 유형별로는 예산·회계 분야가 105건으로 가장 많았고 운영·관리 38건, 교무·학사 37건, 임면·복무 28건, 시설·인가 21건 순이다.
유치원 경영 등을 이유로 차입금을 사용하려면 관할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16개 유치원이 사전허가를 받지 않거나 차입금을 편법운영하다 기관 경고조치를 받았다.
또 자가용 자동차를 통학차량으로 운행하고 식재료 원산지 표시를 하지 않거나 원아 100명이 이상인 유치원에서 영양사를 채용하지 않는 사례도 적발됐다.
일부 유치원은 유치원 회계계좌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 수입금 계좌를 만들어 학부모에게 수입금을 받기도 했으며 월별로 징수하는 중식비나 교재비의 6개월분을 미리 징수하거나 현금으로 수납하고 감사 당일 유치원 계좌로 입금하기도 했다.
특히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경력을 확인하지 않고 종일반 시간제 교사를 채용한 유치원도 이번 감사에서 적발됐다.
시교육청은 적발된 사안 중 78건에 대해서는 경고·주의 조치했으며 151건에 대해서는 기관경고·시정·통보했으며 재정상 조치를 받은 8건 5천900만원에 대해서는 유치원 회계에 편입하도록 했다.
또 5년 주기로 매년 30곳 안팎의 사립유치원을 선정, 지속적으로 감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관내 167개 유치원 중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정 학급 이상, 목적사업비 지원 규모, 지역별 안배 등을 고려해 감사 대상 25곳을 선정했다"며 "유치원 자율적으로 시정·보완이 이뤄지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