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과부, "올해 유치원 수 증가 · 초등학생 수 지속적 감소" | ||
---|---|---|---|
작성자 | 아이미소연구소 | 작성일 | 2012-09-13 09:25:47 |
조회수 | 2,558회 | 댓글수 | 0 |
교과부, "올해 유치원 수 증가 · 초등학생 수 지속적 감소"
2012년 '교육기본통계' 조사결과 발표해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만 5세 누리과정 도입과 교육비 지원 확대로 올해 유치원은 증가했고, 저출산에 의한 취학적령인구 감소로 초·중·고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4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2012년 교육기본통계'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유·초·중등 학교수 증가
올해 유·초·중등 학교수는 전체 20만 137개로 지난해 대비 163개 증가했다. 유치원은 8,538개원으로 전년대비 114개원 증가, 초등학교는 5,895개교로 13개교 증가, 중학교는 3,162개교로 9개교 증가, 고등학교는 2,303개교로 21개교 증가했다. 또한 일반대학 189개교, 전문대학 142개교로 전년대비 각각 6개교 증가, 5개교 감소했고, 산업대학은 7개교가 일반대학으로 학제 변경함에 따라 2개교로 감소했다.
<유초중등 학교수 추이>
초·중·고 학생 수 지속 감소
, 교육여건은 개선유·초·중등 전체 학생수는 7백 38만 4,788명으로 지난해 대비 21만 6,550명(2.8%) 감소했다. 올해 초등학생 수는 전년대비 18만 482명(5.8%) 감소, 중학생 수는 6만 1,478명(3.2%) 감소, 고등학생 수는 2만 3,711명(1.2%) 감소했다. 2010년부터 증가 추세로 전환한 유치원 학생수는 올해 61만 3,749명으로 전년대비 8.7% 증가했다. 반면, 저출산에 의한 취학적령인구 감소로 초·중·고등학생이 감소한 반면, 만 5세 누리과정 도입 및 교육비 지원 확대에 따라 유치원생은 증가했다.
초?중?고 학생수 추이(기타학교 제외)
유?초·중등학교의 전체 교원 수는 47만 6,065명으로 2011년 대비 6,929명(1.5%) 증가했다. 학제별 교원수는 지난해 대비 유치원 3,573명(9.2%), 초등학교 812명(0.4%), 중학교 346명(0.3%), 고등학교 1,870명(1.4%) 증가했다. 만 5세 누리과정 도입 등 유아교육지원 확대에 따라 유치원 교원 증가가 두드러졌다.
학제별 교원평균연령은 유치원 32.3세(전년과 동일), 초등학교 39.8세(전년과 동일), 중학교 42.0세(전년대비 0.4세 증가), 고등학교 42.3세(전년대비 0.2세 증가)로 상급학교로 갈수록 높아졌다.
올해 여성교원 비율은 67.9%로 증가 추세 지속
전체 교원대비 여성교원은 67.9%로 전년대비 0.8%p 증가해 여성교원 비율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초등학교는 남 23.8%, 여 76.2%, 중학교 남 32.7%, 여 67.3%, 고등학교 남 52.7%, 여 47.3%로 나타나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여성교원의 비율이 높고, 고등학교는 남성교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감이상 관리직 여성교원 수는 초등학교 3,360명, 중학교 1,269명, 고등학교 381명으로 2011년 대비 각각 501명(17.5%), 49명(4.0%), 29명(8.2%) 증가했다. 1970년 이후 여성 관리직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2005년 이후 크게 증가했다.
고등교육기관 전임교원 수 증가
고등교육기관 전임교원 수는 8만 4,910명으로 2011년 대비 2,720명이 증가했다. 일반대학은 6만 8,034명으로 2011년 대비 4,129명(6.5%) 증가, 전문대학은 1만 3,078명으로 지난해 대비 187명(1.5%) 증가했다. 고등교육기관 여성교원 수는 1만 9,118명(22.5%)로 전년 대비 1,255명(0.8%) 증가했다. 일반대학의 여성교원 비율은 20.1%, 전문대학은 34.3%했다.
고등교육기관의 교원 평균연령은 매년 조금씩 상승하고 있으며, 올해 48.5세로 전년 대비 0.3세 증가했다. 일반대학의 교원 평균 연령은 48.5세로 전문대학의 47.8세보다 0.7세 많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취업률 전년대비 6.0%p 증가고등학교의 졸업 후 진학률은 2009년 이후 계속 감소 추세에 있으며, 올해는 71.3%로 나타나 전년대비 1.2%p 감소했다. 특성화고의 진학률(50.0%)은 전년대비 11.0P% 감소, 취업률(77.8%)은 9.6%p 증가했다. 이는 특성화고를 취업중심 학교로 개편한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추진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9월 중 홈페이지(www.mest.go.kr, http://cesi.kedi.re.kr)를 통해 '2012 교육통계연보'를 제공, 국민들이 손쉽게 교육통계에 접근?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